세계일보

검색

스파크EV 충전 국내표준 채택 안돼… 보급 확대 ‘삐걱’

입력 : 2013-09-11 18:18:30 수정 : 2013-09-12 13:48:39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한전 AMI PLC 주파수와 대역 겹쳐 간섭현상 일어나
공공사업 배제로 계약·출시 제동
기아·르노삼성車와 형평성 논란
한국GM “늦게 소개돼 차별당해”“회사비용으로 급속충전기 공급”
일각 “환경·산업부
“올해 스파크 전기차(EV)에 맞는 공공 급속충전기는 없습니다.”

정부가 올해 제주도를 시작으로 전기차 민간보급을 본격화했지만, 정작 이를 뒷받침할 공공 충전인프라 구축사업에서는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한국GM이 10월에 국내 출시하는 쉐보레 스파크EV가 올해 이 사업대상에 포함되지 못한 것. 급속충전 방식에 대한 국내표준을 얻지 못했기 때문인데, 한국GM 측은 “급속충전기를 직접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문제는 이 경우 국민 세금으로 급속충전기가 설치된 기아차 레이 전기차, 르노삼성의 SM3 전기차(10월 출시)와 형평성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

◆한국GM의 ‘이유 있는’ 무리수


11일 환경부와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한국GM이 지난달 스파크EV 출시행사를 진행하고도 사전계약이나 정확한 출시날짜를 공지하지 못한 이유는 급속충전 방식인 ‘DC콤보(TYPE1)’가 국내표준으로 채택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환경부가 주도하는 공공 충전인프라 사업에서 배제된 것.

스파크EV를 구입하면 전용주차면에서의 완속충전은 가능하겠지만 정부가 보급 중인 급속충전기를 사용할 수는 없다는 얘기다. 통상 야간에는 5∼6시간 완속충전하고, 주간에는 급속충전을 이용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해 한국GM 측은 “올해 스파크EV가 보급될 것으로 보이는 제주와 창원에 대당 4000만원가량인 급속충전기 5기를 회사 비용으로 공급해 사용에 불편이 없도록 하겠다”며 “충전비용도 회사가 부담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전기차 시범 10개 도시 거주민이 스파크EV를 사더라도 해당 도시에 급속충전기를 설치하겠다는 게 한국GM 측 입장이다. 창원공장에서 생산되는 스파크EV는 국내 출시에 앞서 미국에 수출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에서 생산해 수출하는 차를 국내에서는 정상적으로 팔 수 없다는 게 이치에 안 맞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차를 팔 업체가 인프라를 책임지는 게 맞지만 전기차 사업은 정부 도움 없이 초기 진입이 힘들고, 다른 국산차 업체와 형평성 논란도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AMI에 제동 걸린 ‘DC콤보’

한국GM이 다른 길을 가는 이유는 하나다. DC콤보 방식의 전력선통신(PLC)이 쓰는 주파수 대역과 한국전력이 전국보급을 약속한 지능형 전력계량인프라(AMI)의 PLC 주파수 대역이 겹쳐 간섭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DC콤보는 PLC를 통해 급속충전기와 차량 간 실시간 정보교환으로 충전상황 등을 제어하고, AMI도 PLC를 이용 실시간으로 전력수요를 확인해 요금을 부과하는 지능형전력망 사업의 필수 인프라다.

산업통상자원부 기술표준원은 최근 독일 국제표준화기구(ISO)와 함께 DC콤보와 한전의 AMI용 PLC 간 상호공존 테스트 결과 통신 간섭이 발생했다고 지난달 밝혔다. 한전은 이미 보급된 80만가구를 포함해 올해 200만가구에 AMI를 보급하고, 2020년까지 전국 모든 계량기를 AMI로 전환할 계획이다. 즉 PLC 주파수를 포기하거나 수정할 계획이 없다는 얘기다. 결국 기술적으로 간섭현상을 없애고 국내표준을 얻든지, 국내 출시를 포기하는 게 DC콤보 방식을 채택한 자동차업체의 운명이다. 한국GM 측은 “국내에 늦게 소개된 게 (유일한) 문제였다”고 밝혔다.

그룹 전략 소개 폴크스바겐 관계자가 프랑크푸르트 모터쇼 전날인 9일 오후(현지시간) 프랑크 푸르트 외각에서 진행된 '폭스바겐 그룹 나이트'에서 '골프스포츠밴'을 소개하고 있다.
◆“소비자 선택이 표준 가른다”


한국GM은 올해 공공 급속충전기를 포기했다. 하지만 내년부터가 더 큰 문제다. 정부가 올해까지 급속충전 전기료를 부과하지 않겠지만 내년부터는 사정이 달라진다. 특히 전기차 충전용 전기요금이 따로 운영되고 있는 탓에 국내표준 없이 급속충전기를 자체 운영하면 큰 경제적 부담에 직면할 수 있다. 환경부는 “DC콤보도 내년 4월 이후에 국내표준에 포함될 예정”이라고 말하지만 장담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여기다 내년에 DC콤보를 쓰는 수입 전기차가 국내시장을 두드리는데, 자칫 지금의 상황이 ‘진입장벽’으로 비쳐질 여지도 있다. 국내 수입차 판매 1위인 BMW는 내년 5월 전기차 i3를 출시한다고 밝혔는데, i3도 DC콤보다. 공식적으로 출시를 언급하지 않았지만 폴크스바겐, 포드, 크라이슬러 등 상당수 수입차도 DC콤보다.

일각에서는 현대차도 내년에 출시할 준중형 전기차를 수출하려면 DC콤보를 채택할 것이라며 DC콤보 ‘대세론’을 얘기한다. 하지만 일본차와 현대기아차의 차데모, 르노의 AC3상, 중국의 변형 차데모 등 다른 충전방식도 만만치 않다. 초기에는 주요 수출 지역이 어디냐에 따라서 충전방식이 달라지겠지만 결국 소비자가 많이 선택한 충전방식이 진짜 국제표준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부처가 통신간섭 문제를 예상하지 못했더라도 이후 기술 국내표준이 가능하도록 컨트롤타워 역할을 제대로 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4년 전 한국전력과 현대기아차의 양해각서(MOU)에 대한 곱지 않은 시선도 있다. 당시 전기와 자동차의 선두기업이 전 세계적으로 기술선점 경쟁이 치열한 전기차 및 충전기 개발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는데, 오히려 이것이 DC콤보 방식의 앞길을 막았다는 주장이다.

정재영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정소민 '완벽한 미모'
  • 정소민 '완벽한 미모'
  • 이영애 '눈부신 미모'
  • 혜리 '완벽한 미모'
  • 이영애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