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원 노출 위험에 고발 꺼려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 담합 등에 대한 신고포상금 제도가 국민으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실제 포상금 지급액이 많지 않아 고발자의 신원 노출 우려를 상쇄하기 어렵고, 신고 후 포상금을 받기까지 1년 반이라는 장기간이 걸리는 점도 관심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다.
5일 공정위에 따르면 내년 신고포상금 지급에 3억8000만원, 제도 홍보에 8000만원의 예산이 배정됐다. 이는 올해와 비교해 각각 1억4000만원, 1200만원 감소한 액수다.

신고포상금 제도가 큰 관심을 끌지 못하는 것은 낮은 지급액이 가장 큰 원인이다. 신고포상금은 과징금 규모, 지급 기준, 증거 수준 등에 따라 산정된다. 상한액은 현재 최대 30억원에 달하지만 실제 1인당 평균지급액은 100만원 안팎 수준이다. 1인당 평균지급액은 2008년 112만원이던 것이 2011년 184만원으로 늘었으나 지난해 94만원, 올해 8월까지 69만원으로 줄었다. 담합 등을 저지른 전현직 임원이나 거래업체, 관계자 등이 신원 노출의 위험을 무릅쓰고 고발자가 되도록 유인하기에는 턱없이 미흡한 수준이다.
신고하고 포상금을 받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너무 긴 것도 걸림돌이다. 2010년 신고에서 포상금 지급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411일이었으나 2011년 479일, 지난해 523일로 점점 길어지고 있다. 올해는 8월까지 508일이 소요됐다.
세종=우상규 기자 skwo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