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단독] 4년 뒤 국가채무 800조 돌파…재정건전성 '빨간불'

입력 : 2015-10-27 19:48:33 수정 : 2015-10-28 05:09:50

인쇄 메일 url 공유 - +

내년부터 연 7.8%씩 증가 전망...GDP 대비 40% 중반까지 상승...경제수준 등 감안 적극 관리 필요
우리나라의 국가채무가 4년 뒤 800조원을 넘어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또 정부의 재정지출 관리 목표가 제대로 달성되지 못할 경우 국가채무 비율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40% 중반까지 올라가 재정건전성을 위협할 것이란 전망이다.

27일 국회예산정책처가 펴낸 ‘2016년도 예산안 및 국가재정운용계획 분석’에 따르면 2019년 국가채무는 802조9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정부 전망치(761조원)보다 41조9000억원가량 높은 수치다.

연도별로는 2015년 594조9000억원, 2016년 644조3000억원, 2017년 700조9000억원, 2018년 753조1000억원으로 연평균 7.8%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출규모가 결정되는 의무지출과 달리 정부의 정책적 의지에 따라 지출규모가 탄력적으로 조정되는 재량지출이 물가상승률만큼 증가할 것으로 가정한 뒤 산출한 결과다.

국가채무 규모가 당초 예상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정부가 재정지출 관리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도 2019년 40%를 훌쩍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예산정책처는 올해 38.4%인 국가채무 비율이 2016년 40%, 2017년 41.6%, 2018년 42.7%, 2019년 43.4%로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나라의 국가채무 비율은 주요 선진국보다 낮게 유지되고 있지만, 경제수준과 인구고령화 추이를 고려하면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14% 이상이 되는 고령사회 진입시점인 2018년 국가채무 비율은 41.1%(정부 전망)인 데 비해 프랑스는 32.6%(1979년), 독일 36.8%(1991년) 수준이었다고 예산정책처는 지적했다.

예산정책처는 “국가채무 총량 관리의 근본적 대책으로 우리나라의 재정여건에 적합한 재정준칙 도입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화사 ‘상큼 발랄 미소’
  • 화사 ‘상큼 발랄 미소’
  • (여자)아이들 소연 ‘매력적인 미모’
  • 하츠투하츠 유하 '신나는 무대'
  • 하츠투하츠 이안 '매력적인 무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