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와다 교수는 이날 세계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한·일 정상회담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위안부 문제 해결 의지를 공식 표명한 것은 모두가 기다려온 좋은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박 대통령이 지난달 말 일본 측에 위안부 문제를 연말까지 해결해주면 좋겠다는 의사를 표명했고, 그것에 대해 아베 총리가 대답을 한 것”이라며 “신속하게 해결하자고, 그것을 위해 교섭하자고 한 만큼 앞으로 교섭에서 진전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지금까지 일본 외무성과 한국 외교부가 공식적인 교섭 외에 물밑에서도 계속 조율해왔고, 서로 어느 수준에서 해결이 될 수 있겠다는 정도는 논의가 됐을 것”이라며 “이미 충분히 논의한 만큼 올해 안에 해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그러나 “물론 일본 정부가 해결안을 마련해도 한국 여론이나 위안부 피해자나 관련 시민단체가 ‘안 된다’고 하는 상황이 되면 곤란하다”며 “이들이 수용할 수 있는 방안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와다 교수는 “정부 간 논의만 할 것이 아니라 민간과의 논의도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개인적으로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의’가 마련한 해결 방안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위안부 문제 해결 운동을 하는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아시아연대회의가 지난해 6월 처음 제시한 해결책은 일본 정부가 4가지 ‘사실’은 물론 ‘책임’을 인정하는 것이다. 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소를 설치·관리·통제했고 여성들이 본인 의사에 반해 성노예가 돼 강제적 상황에 놓인 사실 등을 인정하고, 뒤집을 수 없는 명확하고 공식적인 방법으로 사죄하고 그 증표로 피해자에게 배상하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도쿄=우상규 특파원 skwo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