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국정 연설에서 의도적으로 북한 핵 문제를 일절 언급하지 않은 채 미국과 미국의 동맹국을 공격하는 나라가 파멸에 이를 것이라고 엄중 경고함으로써 북한에 대한 임기 마지막 해의 강경 대응 기조를 천명했다.
북한이 1990년대 초부터 핵무기와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시험을 하는 등 도발을 계속할 때마다 ‘도발→제재→협상’의 사이클이 반복됐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 같은 패턴에서 벗어나 협상 단계를 배제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특히 임기 마지막 해에 외교적 업적을 남기려고 이란 핵 협상처럼 북한과 극적인 협상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는 워싱턴 외교가 일각의 전망을 일축하는 태도를 보였다. 오바마 대통령은 국정 연설에서 북한 문제를 꺼내지도 않아 말보다는 행동으로 보여주겠다는 메시지를 보냈다.
![]() |
핵실험 주도 홍영칠 표창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12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사무실에서 4차 핵실험을 담당했던 핵과학자 등에게 표창을 줬다고 노동신문이 13일 보도했다. 김 제1위원장 옆에 이번 핵실험을 주도한 것으로 보이는 홍영칠 군수공업부 부부장(붉은 원) 모습이 보인다. 연합뉴스 |
미 하원에서 통과된 법안은 지금까지 미국이 북한에 취한 제재 조치 중에서 가장 광범위하고, 그 강도가 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법안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관련 제재, 사치품 유입 차단 등 북한 지도층 견제, 인권 유린 행위 처벌, 자금 세탁과 위조 지폐, 마약 밀거래 등 불법행위 규제, 사이버 안보 침해 대응 조치 등을 모두 담고 있다.
특히 북한의 불법행위를 어떤 형태로든 지원하거나 이런 행위에 연루된 제3국의 금융기관이나 기업도 제재 대상으로 지정하는 ‘세컨더리 보이콧’을 적용할 수 있도록 미국 행정부에 재량권을 부여했다. 만약 미국 정부가 이 조항을 이용하면 주로 중국의 금융 기관이나 기업이 제재 대상에 포함될 수 있어 북한 편을 드는 중국을 압박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오바마 대통령 정부는 대북 제재 강화 법안 입법 절차가 끝나면 북한과 중국의 태도를 지켜보면서 이 법의 이행을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북한 문제만을 고려해 중국과의 관계를 조정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이 법이 실제로 중국 측에 타격을 주는 방향으로 이행되기는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ku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