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대 엄구호 아태지역연구센터 소장은 18일 세계일보와 통화에서 북한의 핵실험에 따른 러시아의 대북 제재 가능성과 관련해 “(러시아가 대북 제재에 나서면) 남·북·러 협력사업의 경우 어느 정도 차질이 불가피하다”며 “남·북·러 협력사업은 그렇지 않아도 추진이 쉽지 않았는데 이번 핵실험으로 진전되기 더 어려워졌다”고 밝혔다.
남·북·러 3각 물류협력의 대표사업인 나진·하산 프로젝트 2차 시범운송의 일환으로 지난해 4월 북한 나진항에서 중국 국적 화물선이 러시아 유연탄 12만t을 싣고 우리 항구로 출항을 준비하고 있다. 통일부 제공 |
남·북·러 물류협력사업은 박 대통령의 국정지표인 유라시아이니셔티브의 핵심 프로젝트다. 유라시아이니셔티브란 유럽과 아시아 대륙을 하나의 경제공동체로 묶고 북한 개방을 유도해 한반도 평화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박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13년 11월 서울 정상회담에서 “나진·하산프로젝트가 원활히 추진되도록 장려한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한 뒤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이후 포스코, 코레일, 현대상선 3사가 러시아 측과 사업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북·러 합작기업인 나선콘스트란스의 러시아 지분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참여한다는 내용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북한의 핵실험,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논의와 관련해 “지금처럼 남북 긴장관계가 계속되고, 유엔 등이 북한 제재에 나선다면 나진·하산프로젝트도 당연히 보류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러 관계 전문가는 “북한의 제4차 핵실험에 따라 국제사회가 대북 제재에 나설 경우 박 대통령의 대외정책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 될 것”이라며 “러시아에 대한 대북 제재 요구와 박 대통령의 대외정책 사이에 모순이 분명해 큰 고민일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 대외선전용 주간지 통일신보가 16일자 2면에 1953년 정전협정 문건에 서명하는 김일성 주석(왼쪽 사진)과 4차 핵실험 최종 명령서에 서명하는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사진을 함께 실었다. 두 사람의 닮은 점을 부각시켜 세습의 정당성을 선전하고 이번 핵실험이 50여년 전처럼 미국에 대한 승리라는 점을 강조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다. 연합뉴스 |
김청중·나기천·염유섭 기자 c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