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전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페이스북을 통해 “저는 지금 현재의 자리에 남아 오랫동안 몸과 마음을 다해 정성을 쏟아온 경제정의, 사회정의를 위한 일에 집중하겠다”며 잔류를 선언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이어 “이제 국민적 갈망이 담긴 경제민주화의 길, 그 실천 가능성이 더민주에 찾아왔다”며 “경제정의, 사회정의를 위한 경제민주화와 정치혁신의 길에 미력하나마 매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 |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전 원내대표가 21일 국회 의원회관 자신의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더민주 잔류 결정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날 박 전 원내대표의 잔류 결정은 김 위원장이 선대위원장을 맡으며 당 장악 의지를 강하게 피력하고, 문재인 대표가 당 대표직 사퇴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하고 조속한 후퇴를 못박은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박 전 원내대표는 최근 자신의 더민주 잔류 요건으로 꼽은 친노(친노무현) 패권주의 청산 여부를 묻는 질문에 “완전 해소되지는 않았지만 상당 부분 노력하고 있다고 본다”고 답했다.
이날 결정으로 더민주는 박 전 원내대표의 탈당으로 촉발될 수도권 추가 탈당 우려를 씻었다. 문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우리 당에 도움이 되고, 앞으로 야권 통합에도 도움이 되고, 총선 승리에도 도움이 되는 좋은 결정을 해줬다”고 환영했다.
![]() |
뉴파티위원회 출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표(오른쪽)가 21일 오전 ‘뉴파티위원회’ 출범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파티위원회는 소장파 의원들을 중심으로 당의 주도세력을 교체하기 위한 혁신운동이다. 이재문 기자 |
이날 박 전 원내대표가 당 잔류를 선언하면서 정운찬 전 국무총리의 더민주 합류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동반성장의 아이콘인 정 전 총리를 두고 ‘소득주도 성장’을 내건 더민주와 ‘공정성장’을 내건 국민의당이 동시에 ‘러브콜’을 보내왔다. 정 전 총리와 친분이 두터운 박 전 원내대표는 “정 전 총리에게 ‘총장님의 마지막 과업이 동반성장이라면 이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어느 한 곳에서 힘을 발휘해야 하는 것 아닌가’ 말씀드렸다”고 소개했다. 정 전 총리는 이날 통화에서 “동반성장을 위해 정치를 하는 게 좋은지, 안 하는 게 좋은지 결정을 못 내렸다”며 “조금만 기다려 달라”고 말했다.
한편 호남 DJ계의 상징 중 한 명인 박지원 전 원내대표(3선·전남 목포)는 22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더민주를 탈당키로 했다. 광주 박혜자, 전남의 김영록, 이개호 의원은 전날 회동해 문 대표가 대표직을 사퇴하기로 한 만큼 당내 상황을 더 지켜보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영준 기자 yj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