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직장女 84%· 男 80%가 '출산휴가'시 눈치, 직장女 양육시간이 남편보다 2배 이상많아

입력 : 2016-02-23 10:20:23 수정 : 2016-02-23 10:20:23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직장 여성의 84%와 남성 79.9%가 출산휴가를 갈 때 동료의 눈치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맞벌이 부부 중 여성이 남성보다 육아에 2배이상 더 많은 시간을 보내 남편들이 아내의 수고를 덜어줄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보건복지부는 이 같은 결과를 담은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복지부가 유니온리서치와 함께 작년 12월 7~20일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대인 면접조사 방식의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저출산, 고령화 현상에 대해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각각 89.9%로 같았다. 이는 전년 조사 때보다 각각 5.2%포인트, 2.3%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20~40대를 대상으로 일·가정 양립 상황을 살펴본 결과, 여성의 84.0%와 남성의 79.9%는 '출산 휴가를 낼 때 직장 상사와 동료에게 눈치가 보인다'고 답했다. 응답률은 육아 휴직의 경우에도 비슷한 수준이어서, 남성은 77.8%, 여성은 84.0%를 기록했다.

이 연령대 초등학생 이하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아내는 하루 평균 평일 2.48시간, 주말 4.21시간 자녀 양육에 참여했다. 이는 평일과 주말 남편의 양육 참여 시간인 0.96시간, 2.13시간보다 각각 2.6배, 2.0배 많은 것이다.

외벌이의 경우 아내는 평일과 주말 각각 4.21시간, 5.02시간 육아에 참여해 남편의 0.92시간, 2.09시간보다 각각 4.6배, 2.4배 더 긴 시간을 육아에 쏟았다.

전업주부를 제외한 기혼 남녀들의 72.6%는 육아 가사 참여의 장애 요인(복수 응답)으로 '장시간 근로로 인한 부담'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그 다음으로 51.0%가 '육아 가사 지식과 경험 부족'이라고 답했다.

출산 장려 정책으로는 '양육의 경제적 지원 확대'를 요구한 응답자가 전체의 절반을 조금 넘는 51.1%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일·가정 양립 지원정책 확대'(19.2%)를 선택한 사람이 많았다.

노후준비를 시작하는 시기로는 48.6%가 40대, 35.5%가 30대라고 각각 답했다.

20~30대에 일찌감치 노후준비를 시작한다는 응답은 현재 나이 30대(47.4%) 이후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점차 낮아져 60대는 31.0%까지 내려갔지만, 70대의 경우 다시 46.2%로 올라갔다.

40~50대 응답자 중 55.2%(복수 응답)는 노후 준비로 국민연금·직역연금에 가입하고 있었고 42.1%는 예금·저축·보험·펀드·주식으로 노후를 준비하고 있었지만, 16.5%는 노후에 대해 아무런 준비를 하지 않고 있었다.

박태훈 기자 buckba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지연 '청순 볼하트'
  • 김지연 '청순 볼하트'
  • 공효진 '봄 여신'
  • 나연 '사랑스러운 꽃받침'
  • 있지 리아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