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유가와 신흥국 경기 불확실성 등 대외 리스크가 심화된 만큼 금호석유화학그룹은 내부 원가 경쟁력 강화를 최우선 순위에 놓고 있다. 이를 위해 석유화학제품 원가의 공통분모인 에너지 인프라 구축을 완료하고, 주력제품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고객군을 세분화한 ‘기술영업’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 |
전남 여수에 위치한 열병합발전소인 여수제2에너지에서 금호석유화학 관계자가 증설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금호석유화학 제공 |
안정적인 에너지 및 기반시설 확보로 화학계열사들의 주력제품 생산도 탄력을 받을 예정이다.
상반기에는 금호피앤비화학의 주력제품인 비스페놀-A(BPA)와 에폭시 수지의 주원료인 페놀, 큐멘, 아세톤의 생산능력이 2배로 확대된다. 이를 통해 금호피앤비화학의 페놀과 아세톤의 생산규모는 세계 5위 수준으로 향상될 전망이다.
금호석유화학은 전자소재 사업부문의 기술영업에도 힘을 싣고 있다. 금호석유화학은 실란트 등 디스플레이용 화학물질 파트를 별도로 분리해 연구개발 및 영업을 강화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기술영업은 ‘꿈의 소재’로 불리는 탄소나노튜브(CNT) 사업에서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금호석유화학은 지난 1월 세계 최대 나노기술 전시회 중 하나인 일본 ‘나노테크 2016’ 국제박람회에 참가해 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 신제품 17종을 공식 발표한 바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