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은 최씨 국정개입 의혹 사건 규명을 위한 특검 도입에는 이견이 없으나 상설 특검과 별도 특검을 놓고 줄다리기를 해왔다. ‘선 검찰 수사, 후 특검 도입’을 주장한 국민의당도 ‘야당·시민사회 추천 특검’안을 내놓아 특검 방식을 놓고 ‘3당 3색’ 입장을 보이며 협상이 중단된 상태다.
![]() |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가 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상임위원장-간사단 연석회의에서 발언 하고 있다. 이재문기자 |
박 대통령의 ‘특검 수용’ 발언에 이어 정 원내대표가 별도 특검 수용 의사를 내비치며 최씨 국정개입 의혹 사건을 수사하기 위한 별도 특검 추진이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 |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가 4일 국회에서 최순실 국정농단 파문과 관련한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담화 직후 기자회견을 열어 국회추천 총리 수용, 국정조사, 별도 특검이 수용되지 않으면 정권퇴진운동에 들어가겠다고 밝히고 있다. 이재문 기자 |
![]() |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오른쪽)가 4일 오전 국회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담화 TV생중계를 지켜보고 있다. 이재문 기자 |
여야가 별도 특검 도입 원칙에 합의해도 실제 협상에 돌입하면 접점 찾기가 쉽지 않을 수도 있다. 특검 대상과 기간을 놓고 여야 입장이 맞설 가능성이 높다. 야권은 박 대통령과 정권실세를 특검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할 개연성이 크고, 여권은 이에 반대할 가능성이 높다. 여당은 최씨 사건을 최대한 빨리 매듭지으려고 하는 반면 야당은 내년 대선 정국 때까지 이슈화하겠다는 의도가 엿보인다. 추 대표가 이날 국정조사를 들고 나오고, 정 원내대표가 ‘정치적 중립성 담보’라는 전제조건을 달았다는 점도 변수다.
황용호 선임기자 drago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