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수사에 회의적인 시각이 많은 것은 검찰이 자초했다. 한 시민단체는 지난 9월 정권 비선실세 최순실씨가 배후로 알려진 미르·K스포츠재단 관련 의혹을 검찰에 고발했다. 전형적인 권력형 비리 의혹이 짙었지만 검찰은 이 사건을 특수부가 아닌 일반 형사부에 배당하고 검사 3명이 맡도록 했다. 당연히 기초 조사에만 1개월 가까운 시간이 걸렸고 그 사이 최씨의 국정농단 의혹은 일파만파 확산했다. 검찰은 지난달 20일 박 대통령이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자금 유용 등 위법행위는 엄정히 처벌해야 한다”고 말하자 비로소 관련자 통화내역 추적에 나서기도 했다.
![]() |
착잡 박근혜 대통령이 대국민담화를 통해 검찰 수사 수용 의사를 비친 4일 김수남 검찰총장이 착잡한 표정으로 서울 서초동 대검찰청에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
다만 특검이 국회 논의를 거쳐 정식으로 출범하려면 상당한 시일이 소요된다. ‘지금으로선 검찰 수사에 기대를 걸 수밖에 없다’는 현실론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김수남 검찰총장이 이날 철저한 수사를 지시하며 특별수사본부 검사를 무려 32명으로 늘린 것도 같은 맥락이다.
검사들은 인사에 예민한 만큼 인사권자(대통령)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구조에선 수사도 움츠러들 수 있다. 한 검찰 출신 변호사는 “박 대통령과 최재경 신임 민정수석이 다가오는 검찰 인사에 일절 관여하지 않겠다는 명시적인 선언을 해야 수사 공정성 시비가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훈 기자 af103@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