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박근혜 대통령이 9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에서 미국 대선 결과에 대해 보고를 받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북핵·미사일 위협이 고조되고 있는 엄중한 상황임을 감안해 미 차기 행정부와 협력관계를 조기에 구축해줄 것을 당부했다. 연합뉴스 |
최순실 국정농단 파문으로 내우(內憂)를 겪는 박근혜정부는 9일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의 미국 대선 승리라는 외환(外患)에 직면하자 바짝 긴장하는 분위기다. 미국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신고립주의에 기반을 둔 트럼프 당선인은 그동안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 100% 부담 △주한미군 철수 △한국 핵무장 용인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과의 대화 가능성 등 한·미동맹 근간을 흔드는 발언을 여러 차례 해왔다. 주한 미국 대사관도 버락 오바마 대통령 측근인 마크 리퍼트 대사 주재로 10일 가지려던 기자간담회를 연기하는 등 당황하는 기류다.
![]() |
9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미국 대선 한국 경제·외교·안보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향 당정 협의에서 윤병세 외교부장관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제원기자 |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왼쪽 두번째)가 9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긴급 `금융경제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며 미국 대선 결과가 국내 금융과 경제에 몰고 올 영향과 대응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
최씨 파문으로 인한 박 대통령의 대외 이미지 추락과 트럼프 당선인의 여성 비하 성향을 감안하면 당분간 한·미 정상의 원활한 소통은 기대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박 대통령의 국정 장악력 약화라는 정치적 악조건에다 임기말이라는 불리한 시점에서 12·28 한·일 일본군위안부 문제 합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체결 추진 등 논란이 계속되는 현안 앞에 등장한 트럼프 당선인이라는 존재는 향후 우리 외교·안보의 험로를 예고한다.
![]() |
9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미국 대선 한국 경제·외교·안보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향 당정 협의에서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가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제원기자 |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이 국내 핵무장론을 다시 자극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세종연구소 정성장 통일전략연구실장은 “한국이 미국의 묵인 하에 핵무장 방향으로 갈 수 있는 길이 열릴 수 있다”며 “미국의 핵우산에 전적으로 의존해온 한국 안보를 핵보유를 통해 한국 스스로 책임지면서 부족한 부분을 미국에 의존하는 건강하고 균형적인 동맹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청중·이우승 기자 c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