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2014년 3월28일 독일 드레스덴에서 평화통일 기반 구축을 위한 3대 제안을 발표하며 절정기를 누렸다. 하지만 20여 일만에 박 전 대통령은 세월호 참사를 맞게 되고 국정위기의 늪에 빠지게 된다. 그는 세월호 참사 당일 7시간 동안 사태 수습에 국가 원수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김이수, 이진성 헌법재판관은 지난 10일 헌재 탄핵심판 보충의견에서 “국가 최고지도자가 국가 위기 상황에서 직무를 불성실하게 수행해도 무방하다는 그릇된 인식이 우리의 유산으로 남겨져서는 안 된다”며 대통령의 성실한 직책수행 의무를 탄핵 사유로 봐야 한다고 밝혔다.
박 전 대통령의 불안한 심기를 경호한 조력자들도 있었다. 압수수색 등 검찰 수사를 방해한 의혹을 받고 있는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 방송통제를 시도한 의혹을 받았던 이정현 전 홍보수석 등이다.
세월호 유가족들은 그해 11월11일 정부에 세월호 인양을 공식 요청했다.
세월호 참사에 대한 비판 여론이 들끓는 가운데 같은해 11월28일 ‘정윤회 비선실세’ 문건이 터졌다. 하지만 박 전 대통령은 “문건 유출이 국기문란”이란 검찰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자 정권을 눈치를 보던 검찰도 문건 유출에짜맞춘 수사결과를 내놓았다.
세월호 참사에 정윤회 문건까지 겹치면서 정권이 최대 위기를 맞자 역시 이념 카드를 뽑아들었다. 통합진보당 정당 해산을 추진해 결국 12월19일 해산시켰다.
이를 통해 국정 위기를 넘긴 박 전 대통령에겐 2015년 성완종 리스트와 메르스 유행사태로 또다시 위기를 맞게 된다.
위기감이 높아지자 공무원연금법 개정안 처리와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을 통해 또다시 편가르기를 시도해 국면을 탈출했다.
박 전 대통령이 국정위기를 반복하는 그 순간에 최순실은 박 전 대통령과 공모해 미르·K스포츠재단을 만들어 국정을 농단했다. 수백명의 목숨을 앗아간 참사에 대한 반성도 없이 비선실세에 대한 경고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헌법과 민주주의를 파괴하고 국민을 능멸한 것이다.
박 전 대통령은 이젠 3년 전 세월호 참사 당시 못했던 진실을 고백해야 한다. 세월호 참사 부실 대응과 국정농단 책임, 그에 대한 진상 규명 방해·은폐 행위에 대해서 말이다.
세월호와 함께 참사 당시에 묻혔던 진실도 떠올랐다. 그 진실이 국가기관에 의해 파헤쳐지기 전에 박 전 대통령이 진실 앞에 항복하고 진솔하게 사과해 굴곡진 역사를 마무리해야 할 것이다.
남상훈 기자 nsh21@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