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고시원·찜질방에서 산다…서울 주거취약가구 7만 돌파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17-09-10 13:44:29 수정 : 2017-09-10 13:44:28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지난해 서울 시내 거주 가구 중 고시원이나 찜질방 등에서 지내거나 노숙을 하는 가구가 7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 이외 거처 중 ‘기타’에 해당하는 서울 거주 가구는 7만2140가구로 전년(6만9870가구)보다 2270가구(3.2%) 늘었다.

통계청은 가구의 거처를 주택과 주택 이외 거처로 분류하고 있다. 주택 이외 거처는 다시 오피스텔, 호텔·여관 등 숙박업소, 기숙사 등 특수 사회시설, 판잣집·비닐하우스, 기타 등으로 나눠 집계된다. 이 가운데 ‘기타’는 상가·고시원·찜질방 등을 전전하거나 노숙을 하는 등 매우 불안정한 주거 환경에 놓인 가구를 뜻한다.

지난해 서울의 주택 이외 거처 ‘기타’ 가구 증가율은 전국 평균(3.0%)을 웃도는 것이다.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전체 일반 가구가 전년보다 200여 가구(0.01%) 소폭 늘어난 점에 비춰보면 주거 취약가구의 증가 폭은 상대적으로 큰 편이다.

전체 서울 일반 가구 수 증가에도 주택에 거주하는 가구는 359만265가구에서 357만5219가구로 0.4% 줄어들었다. 전체 일반 가구 중 주택 이외 거처 ‘기타’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자치구는 중구(4.4%)였으며 금천구(4.3%), 종로구(3.9%) 등 순이었다.

주택 이외 거처 중 판잣집·비닐하우스 거주 가구는 1976가구로 재개발 등 영향으로 전년(2279가구)보다 13.3% 감소했다. 판잣집·비닐하우스는 대부분 자치구에서 줄어들었지만 송파구는 43가구에서 186가구로 큰 폭으로 늘어났다.

지난해 서울 주거 환경이 열악해진 것은 집값·전셋값 상승 영향으로 주택 거주비율이 높은 3∼4인 가구를 중심으로 서울을 빠져나가고 주택 이외 거주가 많은 1인가구 전입이 늘어난 점과 관련이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주택 이외 거처 중 ‘기타’ 통계를 세부적으로 분류할 수는 없지만, 상당수가 상가 등에서 사는 자영업자로 파악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츄 '깜찍한 브이'
  • 츄 '깜찍한 브이'
  • 장원영 '오늘도 예쁨'
  • 한소희 '최강 미모'
  • 수현 '여전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