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연중 등산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은 10월 단풍철을 맞아 등산객들의 안전을 위하여 전국 22곳 국립공원에 설치된 저출력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에 대한 작동 여부, 관리 상태 등 성능 실태를 오늘(10일)부터 내달 10일까지 점검한다고 밝혔다.
저출력심장충격기는 자동제세동기(AED) 등 의료기관 및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심정지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주어 심장이 정상리듬을 회복하도록 하는 제품이다.
![]() |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사용법에 관한 교육 중인 중앙대병원 직원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상관없음. 세계일보 자료사진. |
식약처에 따르면 지난해 국립공원 연간 탐방객(총 4728만명) 중 10월 탐방객이 14.1%(668만명)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 5월 10.9%(515만명), 8월 10.2%(483만명), 11월 10%(471만명) 순이다.
점검은 국립공원에서 급성 심정지가 발생했을 경우 심폐 소생을 위하여 사용하는 자동제세동기(AED)에 대한 안전 점검을 위한 것으로 국립공원관리공단과 합동으로 실시한다. 설악산·북한산·한라산·변산반도 등 전국 22개 국립공원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제세동기 355대가 점검 대상이다.
![]() |
국립공원 현황 및 자동제세동기(AED)설치 현황. |
식약처 등은 조사에서 △자동제세동기 정상 작동 여부 △배터리 방전 여부와 유효 기간 확인 △패드 유효기간 등 관리 상태 △사용방법 안내문 부착 위치 적정성 등을 살펴볼 계획이다.
점검 결과에 따라 미 작동 자동제세동기는 기기를 교체하고, 유효기간이 지난 배터리나 패드의 경우 교체하는 등 정상 작동되도록 현장에서 적절한 조치를 할 예정이다.
국립공원 내 설치된 자동제세동기 위치와 사용방법은 모바일 앱 ‘응급의료정보제공’을 이용하여 전국 어디서나 확인할 수 있다.
식약처 관계자는 “앞으로도 어린이집, 학교, 경로당 등 국민들이 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의료기기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을 통해 국민들이 안심하고 의료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