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사진)의 화산분화 징후가 포착된 가운데 이에 따른 영향을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
윤성효 부산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는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깨어나는 백두산 화산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한 국회 토론회에 참석해 남북 공동 대비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날 윤 교수는 백두산 화산 분화에 따른 주변 지역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에 대해 예상 시나리오에 근거한 모의실험 연구 수행 결과를 공개했다.
그는 “백두산은 946년 밀레니엄 분화로 명명된, 지난 2000년동안 있었던 화산활동 중 가장 큰 분화사건으로 인지되는 활동을 했다“며 “이때 백두산에서 날아간 B-Tm 화산재는 일본 홋카이도와 혼슈 북부를 지나 쿠릴 열도 해저와 그린란드 빙하 속에서도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는 화산폭발 지수 7 규모로 1815년 탐보라 화산분화의 1.5배 수준으로 평가된다“며 “그 후 함경도에 화산재를 낙하하는 등 30회 이상의 분화사건이 역사에 기록돼 있으며, 백두산은 2002~05년 화산 위기를 맞이했던 활화산“이라고 경고했다.
윤 교수에 따르면 백두산이 가까운 장래에 분화한다면 강하 화산재의 1차 피해 영향 지역은 북한이다.
그는 먼저 강하 화산재가 비처럼 내리고, 화산재 분화 말기에는 산불이 발생해 주변 산지를 태울 뿐 아니라, 천지 칼데라 내에서 흘러 넘친 물로 대홍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이어 대홍수가 화산체의 부서진 암석과 화산재를 동반해 이동하면 ‘라하르‘라 부르는 토석류, 화산이류 등이 발생해 주변지역을 매몰하면서 황폐화시킬 수 있다고도 경고했다.
이때 라하르는 압록강 주변의 보천읍과 장백 조선족 자치현, 혜산시, 김정숙읍, 김형직읍 등 멀리까지 도달할 것으로 추측했다.
이로 인해 도로와 댐, 전기시설, 광산 등이 마비되고, 생태계의 변란과 토양 침식, 호흡기 질환, 식수의 오염, 냉해 등 악순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도 밝혔다.
나아가 윤 교수는 백두산이 재분화하면 다량의 화산재가 발생해 한국과 일본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관측했다.
한편 탐보라 화산(사진) 분화는 1815년 인류가 목격하여 기록에 남겨진 사례 중에서 가장 강력한 분출을 일으킨 사건이다.
탐보라 화산은 인도네시아 동부 숨바와 섬에 위치한 거대한 성층 화산이자 초화산이다.
당시 화산 폭발로 인해 탐보라 인근에서 목숨을 잃은 이는 적게는 6만명, 많게는 12만명 정도로 보고 있다.
김정호 온라인 뉴스 기자 Ace3@segye.com
사진=세계일보 자료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