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그룹 경영권을 놓고 3남매 사이의 분쟁이 벌어졌다는 의혹이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상속세 납부 문제 역시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9일 재계에 따르면 한진그룹은 올해 대기업집단의 '총수(동일인)' 지정과 관련한 공정거래위원회에 자료 제출을 기한 내 하지 못했는데요. 당초 오는 10일로 예정됐던 2019년 대기업집단 지정 일자를 15일로 연기했습니다.
한진 측은 "기존 동일인의 작고 후 차기 동일인을 누구로 할지에 대한 내부적인 의사 합치가 이뤄지지 않아 동일인 변경 신청을 못하고 있다"고 공정위에 소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진은 지난 3일 석태수 한진칼 대표이사 사장 명의의 공문을 공정위에 보내 이같이 밝힌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공정위는 한진으로부터 법적 마지노선인 15일까지 자료 제출을 하겠다는 확답조차 받지 못한 상태입니다.
사실상 공정위에 경영권 노선 정리가 마무리 되지 않았다는 점을 시인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경영권 노선 정리 제대로 안된 한진그룹…조양호 전 회장 17.84% 지분 상속에 쏠린 시선
그룹 지주회사인 한진칼의 지분 구조를 보면 조 전 회장의 장남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2.34%)과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2.31%), 조현민 전 대한항공 전무(2.30%) 등의 보유 지분이 별반 차이가 없습니다.
고(故) 조양호 전 회장이 보유한 17.84%의 상속 과정에 이목이 집중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인데요.
조 전 회장의 한진칼 보유 지분가치는 약 3543억원으로, 상속세율 50%를 감안하면 상속세는 약 1771억원입니다.
상속세는 한진가의 삼남매가 보유한 지분가치와 비교해 상당히 부담스러운 수준인데요. 조원태 회장을 비롯한 남매들이 5년에 걸쳐 분납을 하더라도 연간 340억원이 넘는 규모입니다.
조 회장 일가가 보유한 한진칼 주식의 상당수가 담보로 묶여 있어 자금 조달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조 회장과 특수관계인 등은 한진칼 총 보유지분 28.93% 중 27%에 해당하는 7.75%를 금융권 및 국세청에 담보로 제공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때문에 상속세 마련을 위한 유력한 방법으로 꼽힌 주식담보대출을 통한 추가 자금 조달 가능 금액이 더욱 감소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주식담보대출은 주식 평가가치의 50% 수준까지 가능합니다.
한진칼을 제외한 기타 계열사 지분매각, 한진 등이 보유한 부동산 등 자산매각을 통한 배당여력 및 배당금 확대 등이 상속세 납부를 위한 방안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상속세를 현물로 납부할 자금 여력이 없을 경우 주식매도가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한진 측은 "아직 후계 승계 방식이나 재원 마련에 대해 정해진 내용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금호아시아나그룹 등 대를 이은 혈족간 분쟁 적지않은 재벌家
한편 재벌가 분쟁 대부분은 재벌 총수가 세상을 떠나며 남긴 유산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불거지곤 합니다.
수년 내 갈등이 정리되는 경우도 있지만, 갈등의 골이 깊어져 수십년간 대를 이어 갈등을 이어가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요.
금호아시아나그룹에서도 대를 이어 혈족 간 분쟁이 벌어졌습니다.
금호가의 경우 그룹 창업주인 박인천 전 회장의 셋째 아들인 박삼구 회장과 넷째 아들인 박찬구 회장의 갈등으로, 2010년 금호아시아나그룹과 금호석유화학으로 나눠진 이후 충돌이 계속됐습니다.
금호 창업주 박인천 전 회장도 금호타이어 전신인 삼양타이어를 둘러싸고 동생과 갈등을 빚은 바 있습니다.
한화그룹에서는 김승연 한화 회장의 동생인 김호연 전 빙그레 회장이 형을 상대로 재산권 반환 소송을 제기해 3년 6개월에 걸친 법정 소송을 벌이다 취하한 바 있는데요.
이밖에도 대림이나 코오롱 등 굴지의 그룹들이 혈족 간 분쟁을 겪었습니다.
반면 LG·GS·LS 등 재벌그룹에서는 혈연 간 경영 분쟁은 두드러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