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용석 전 의원(사진 오른쪽)과 김세의 전 MBC 기자(〃 왼쪽)가 대표로 있는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이후 가세연) 측이 올리는 영상마다 이른바 ‘노란 딱지’가 붙고 있다고 호소했다.
노란 딱지가 붙으면 광고수익이 제대로 발생하지 않는데, 유튜브의 광고주 친화정책 중 하나로 알려졌다.
노란 딱지가 붙는 영상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제시되지 않아 최근 이 제도 자체가 ‘정치적으로 편항됐다’는 논란에 휘말리기도 했다.

가세연 측은 지난 10일 유튜브 채널에 올린 공지글(사진)에서 “노란 딱지가 100% 붙고 있다”며 “노란 딱지가 안 붙은 영상이 딱 하나 있다. 다름 아닌 25초짜리 로고송 동영상”이라고 전했다.
이어 “도대체 무슨 기준으로 노란 딱지가 붙는지 모르겠다”며 “황당하다”고 토로했다.
아울러 “가로세로연구소는 직원들도 많고, 고가의 장비를 많이 운영하는 채널”이라며 “유튜브 광고수익에서 차질을 빚으면 타격이 어마어마하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그래도 가로세로연구소는 당당한 방송을 계속하겠다”며 “특정 정당, 특정 정치세력, 특정 집단, 특정 기업에 휘둘리지 않고 소신을 지키는 방송 계속하겠다”고 전했다.
나아가 “많은 응원 부탁 드린다”고도 덧붙였다.
앞서 가세연은 유튜브 채널을 지난해 7월 개설됐고, 13일 기준 52만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다.
총 조회 수는 1억1750만회에 달하며, 오후 7시마다 라이브 쇼를 진행한다.
김 전 기자, 강 변호사와 김용호 기자가 고정 패널이며, 가끔 보수 성향의 게스트가 출연하기도 한다.
이른바 ‘조국 사태’ 국면에서 조국 법무부 장관과 그 일가에 대한 각종 의혹을 제기해 언론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유튜브를 운영하는 구글은 2017년 8월부터 노란 딱지 제도를 도입했는데, 이는 광고주 친화적 정책의 일환이다.
도박과 약물, 성인물 등 약관에 위배된 콘텐츠에 노란색 달러 모양의 아이콘을 붙이는데, 이 아이콘이 붙은 영상은 광고는 물론이고 유튜브 내 확산이 제한돼 수익이 줄어든다.
부적절한 동영상에서 광고수익이 발생하지 않게 해 유튜브 내에서 보다 건전한 동영상에 광고료가 돌아갈 수 있게 도와주는 제도다.
이와 달리 초록색 달러 모양의 딱지가 붙으면 수익형 광고가 게재된다.
회색의 달러 모양 딱지는 처음부처 수익 창출을 설정하지 않을 때 붙는다.
유튜브 콘텐츠에 붙는 노란 딱지 문제는 지난 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의 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장에도 뜨거운 감자였는데, 당시 윤상직 자유한국당 의원은 존 리 구글 코리아 대표에게 일부 보수 성향의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콘텐츠에 노란 딱지가 붙은 데 대해 정치 편향성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당시 윤 의원은 ”보수 성향의 유튜브 채널에만 노란 딱지가 붙는 것은 편향적”이라며 “일례로 이병태 TV의 ‘조국 교수 사퇴 촉구 트루스포럼 서울대 집회’라는 영상에 노란 딱지가 붙었는데, 아무리 봐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조만간 법리를 검토해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존 리 대표는 “노란 딱지는 유튜브를 안전한 플랫폼, 광고주가 선호하는 플랫폼으로 만들기 위한 제도”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게 “유튜브가 성장하면서 광고주 목소리가 높아졌고 브랜드 가치가 일맥상통하는 것에 광고를 붙이고자 하는 뜻이 노란 딱지에 반영됐다”며 “관련 내용을 검토하겠다”고 해명했다.

한편 앞서 유튜브는 증오심 표현에 대한 정책(6월), 아동 안전에 대한 정책 (8월), 커뮤니티 가이드 위반 경고(9월)을 각각 개정해 콘텐츠에 대한 표현을 비롯한 안전 및 기타 제반 사항에 대한 심의 기준을 한 차례 높였다.
이에 따라 과도한 노출 및 성적인 내용을 담은 콘텐츠, 유해하거나 위험한 콘텐츠, 증오성 콘텐츠, 폭력적이거나 이를 노골적으로 부추기는 콘텐츠 등은 유튜브가 신고 등을 받아 직접 시정에 들어가 제한 혹은 삭제 등의 조치를 할 수 있다.
다만 노란 딱지를 포함해 이러한 제한에 대해 유튜브는 콘텐츠 보유자를 상대로 구체적인 설명을 하는 대신 일방적으로 통보 등을 하기 때문에 실제 수익 창출 거부나 삭제 혹은 제한의 이유를 명확히 알 수 없어 몇몇 유튜버들을 중심으로 관련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장혜원 온라인 뉴스 기자 hodujang@segye.com
사진=가로세로연구소 홈페이지 및 유튜브 채널 캡처, 유튜브 홈페이지 캡처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