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링컨 “외교정책 중심은 인권”
미국이 3년 만에 복귀한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북한 인권 문제 해결을 국제사회에 촉구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전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달리 ‘북한 인권 문제에 적극 관여하겠다’는 입장을 확인한 것인데, 향후 북·미 및 한·미 관계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24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유엔 인권이사회 화상연설에서 “시리아와 북한에서 계속되는 인권침해 등 우려 사안을 제기하는 결의안을 지지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은 민주주의와 인권을 외교정책의 중심에 두고 있다”며 “모든 사람의 인권을 존중하고 보호하기 위한 미국의 결의를 재확인한다”고 덧붙였다.
지난해까지 18년 연속 북한 인권 결의안을 채택한 유엔 인권이사회는 올해도 결의안 상정과 채택이 유력하다. 다만 미국은 트럼프 정부 시절인 2018년 인권이사회를 탈퇴했고,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을 고려해 북한 인권 문제를 거의 제기하지 않았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별도 언론 성명에서 “북한과 시리아에 대한 (인권침해) 조사 등 유엔 인권이사회는 불의와 폭정에 맞서는 싸움을 지원해야 한다”며 “인권침해를 저지른 자들에 대한 책임 추궁에 미국은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다.
워싱턴=정재영 특파원 sisleyj@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