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1/05/21/20210521503463.jpg)
서울의 아파트 매수심리가 다시 강해졌다.
2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7일 기준 서울의 아파트 매매수급 지수는 104.8로, 지난주(103.5)보다 1.3포인트 더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또 6주 연속 기준선(100)을 넘겨 상승한 것이다.
매매수급 지수는 부동산원의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와 공급 비중을 지수화한 것으로, '0'에 가까울수록 공급이 수요보다 많음을, '200'에 가까울수록 수요가 공급보다 많음을 뜻한다. 100을 넘어 높아질수록 매수심리가 강하다는 의미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 지수는 지난 한 해 등락을 거듭하다가 11월 마지막 주 100.2로 100을 넘긴 뒤 올해 3월 마지막 주까지 18주 연속 100을 웃돌았다.
이 지수는 2·4 주택 공급대책 발표 직후인 2월 둘째 주부터 내려가기 시작해 4월 첫째 주 96.1로 올해 처음 기준선 아래를 기록했으나 한 주 만에 반등해 6주 연속(100.3→101.1→102.7→103.7→103.5→104.8) 기준선을 넘기며 상승세를 타고 있다.
2·4 대책에 대규모 신도시 공급 계획이 포함되자 매수심리가 진정세로 돌아섰지만 서울시장 보궐선거 과정에서 재건축 규제 완화 기대감이 커지면서 주요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심리가 살아난 것이다. 이후 압구정·여의도·성수·목동 등 4개 지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됐지만 매수심리가 꺾이지 않고 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날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 장관회의에서 서울의 아파트 매매수급 지수가 지난달 중순 이후 매수자에서 매도자 우위로 전환된 것을 언급하면서 "매우 경계해야 할 변화가 아닐 수 없다"고 우려했다.
나기천 기자 na@segye.com
사진=뉴스1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