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박상현의 일상 속 문화사] 예술작품, 자산화 뿐 아니라 진위논란 잠재우다

입력 : 2021-05-26 10:00:00 수정 : 2021-05-25 20:36:0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20) 예술계 난제 푼 ‘대체 불가능 토큰(NFT)’

암호화 디지털 자산으로 예술계 인기
판화 등 복제 많은 작품서도 원본 지정
서버에 있는 한 진품소유증명서 역할

인간 약속, 신뢰도 높은 블록체인 통해
유화·조각작품과 같이 금전 가치 부여
‘비플’ 같은 디지털 작품 수백억에 팔려
에두아르 마네의 1866년 작 ‘피리 부는 소년’의 진품은 프랑스 파리 오르세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다.

최근 예술계에서 ‘대체 불가능 토큰(NFT)’이 큰 화제가 되었다. NFT란 이더리움이라는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발행하는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이다. 예술계에서 NFT의 인기에 흥분하는 이유는 복제되기 쉽고 ‘원본’임을 주장하기 어려웠던 예술작품들을 자산화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우리는 간혹 뉴스에서 특정 작품 위작 논란을 접하기는 하지만 이는 아주 드문 일이고, 대부분의 경우 물리적인 원본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가령 마네의 ‘피리 부는 소년’이라는 작품의 원화는 하나뿐이고, 현재 프랑스 파리의 오르세미술관에 있음을 쉽게 검색할 수 있다. 그런데 만약 누군가 마네의 이 작품을 아주 정교한 솜씨로 똑같이 복제했다고 하자. 전문가들이 현미경과 물감의 화학분석을 동원하지 않으면 맨눈으로는 구분이 불가능할 만큼 똑같다고 해도 사람들은 진품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한다. 왜일까.

만약 ‘피리 부는 소년’이 주는 시각적 즐거움이 그 작품의 가치를 결정한다면, 원작과 위작 사이에는 가격 차이가 존재할 이유가 없다. 그 작품을 현미경과 시약을 동원해서 분석하면서 감상하는 관객은 없기 때문이다. 루브르박물관에 전시된 ‘모나리자’는 사실 진품이 아니며, 진품은 안전한 곳에 따로 보관하고 있다는 얘기는 항상 나오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그 앞에 몰려가서 (그 작품이 원작이기를 바라며) 사진을 찍는다. 그들에게는 그런 믿음만으로도 충분하다.

따라서 자신의 눈으로 구분할 수 없어도 원작에 가치를 두는 일은 관객의 논리로 보면 어리석은 일이지만, 투자가치로 본다면 당연한 일이다. 왜냐하면 특정 자산에 투자하는 사람은 그 자산을 사게 될 잠재적 구매자의 지불의사를 생각해야 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하나뿐인 진품, 원작을 원한다면 그 작품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그것이 하나뿐인 진품, 원작임을 증명해야 자산의 가치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 복제 가능한 작품이 가진 딜레마가 발생한다. 대표적인 경우가 판화다. 똑같은 작품을 사실상 무한대로 찍어낼 수 있다는 이유로 같은 유명작가의 작품이라도 판화의 가격은 낮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술가들이 만들어낸 방법이 일정 숫자만 찍어낸 후에 판을 부수거나 큰 흠집을 내어 다시 찍지 못하게 만드는 것이다. 투자가치, 자산의 가치로 보면 당연한 일이지만, 관객의 가치, 혹은 ‘감상의 대상으로서의 예술’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그렇게 어리석은 일도 없다. 훨씬 더 많은 사람이 원본을 즐길 수 있고, 그래서 판화가 존재하는 건데 돈의 논리 때문에 판화의 존재 이유를 무시해버리는 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에서 절대 무시해서는 안 되는 것이 아티스트가 하는 노동의 대가다. 아티스트 역시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일한 대가를 받아야 살 수 있는 생활인이다. 만약 누군가가 자신의 판화 원판을 가져가서 무한히 찍어내어 퍼뜨리고 있다면 어떻게 될까. 작품이 아무리 유명해져도 자신에게는 아무런 대가가 돌아오지 않게 된다.

우리가 온라인에서 공짜로 쉽게 볼 수 디지털 작품을 만드는 아티스트들이 대부분 이런 처지에 있다. 디지털 사본은 원칙적으로 원본과 아무런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 디지털 데이터는 그것이 그림이든, 텍스트든, 음악이든 상관없이 궁극적으로 0과 1이라는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를 고스란히 복사하면 원본과 아무런 차이가 없는 사본, 즉 또 하나의 원본이 생긴다. 아티스트와 구매자를 연결해서 작품을 판매하는 전통적인 화랑들이 디지털 작품의 판매를 꺼리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세상에 단 하나의 원작만 존재하는 게 아니면 투자의 가치는 사실상 없기 때문이다.

디지털 아티스트 비플(Beeple)의 작품 ‘매일: 첫 5000일’. NFT를 통해 우리 돈으로 약 785억원에 팔린 이 작품은 살아있는 작가의 작품 중 세계 3위의 가격을 기록해서 미술사를 새로 썼다는 평가를 받는다.

NFT는 바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얼마든지 복제가 가능해서 온라인에 떠돌아다니는 디지털 작품 파일 중 하나를 원본이라고 지정하고, 그 사실을 아무도 부정할 수 없도록 블록체인을 통해 보장한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똑같이 생긴 다른 파일이 가짜가 되는 건 아니다. 그저 작가가 원본이라고 지정한 것 자체로 원본의 가치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아무도 NFT를 복제하거나 위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스운 건, 그렇다고 해서 NFT가 디지털 예술작품의 파일을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라는 사실이다. 전형적인 NFT 토큰은 특정작품에 관한 정보와 그 작품의 온라인 파일의 위치를 지정하고 있을 뿐이다. 그 작품의 실제 파일은 어딘가에 있는 인터넷 서버에 존재하고 있다. 즉 특정작품의 NFT는 그 작품의 ‘진품 소유 증명서’일 뿐 그 작품이 아니다. 따라서 NFT 토큰이 가리키는 서버에 있는 그림 파일이 실수로 지워질 수도 있다. 하지만 그건 별문제가 되지 않는다. 똑같은 작품이 인터넷에서 널려 있으니까 그렇다. 결국 디지털 작품의 NFT를 물리적인 작품에 비유하자면 예술작품의 소유자는 소유했다는 증명서만 가지고 있고 작품들은 전 세계에 널려 있는 셈이다.

그게 도대체 말이 되냐고 물을 수 있다. ‘피리 부는 소년’이라는 유화작품, 즉 물리적인 그림이라면 말이 되지 않지만, 똑같은 복제품이 원작과 전혀 차이 없이 생산될 수 있는 디지털 아트에서는 충분히 말이 되는 얘기고, 그 방법 외에는 소유를 증명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없다. 이것이 낯설게 느껴지는 이유는 감상하는 대상으로서의 가치와 투자로서의 가치가 분리되었기 때문이다. 특정 디지털 작품에 대한 감상은 누구나 자신의 컴퓨터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소유자는 소유했다는 증명, 즉 NFT 토큰만 가지면 된다.

물론 여기에는 중요한 조건이 뒤따른다. 그렇게 작품의 소유를 증명하는 NFT 토큰이 가치가 있다는 사실을 충분히 많은 사람이 인정하고 동의해야만 한다. 모든 사람이 “그 작품을 모든 사람이 복사해서 자신의 컴퓨터에 다운로드할 수 있는데, 그깟 블록체인 증명서가 무슨 소용이냐”고 한다면 NFT 토큰을 통한 작품 판매는 이뤄지지 않는다. 하지만 최근 들어 비플(Beeple) 같은 디지털 아티스트의 작품이 우리 돈으로 수백억원의 가격에 팔리는 것은 이미 많은 사람이 그 가치에 동의하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종류의 가치는 인류사회에 생각보다 흔하다. 가령 현대적인 화폐가 그렇다. 우리가 금속 조각, 종잇조각에 불과한 화폐에 일정한 가치가 있다고 믿는 이유는 단지 모두가 그 물건이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동의했기 때문이다. 그 자체로 가치가 있는 금화나 은화와 달리 이렇게 사회적인 약속에 의해 가격이 정해진 화폐를 명목화폐(fiat money)라고 한다. ‘사피엔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는 이처럼 사회적 약속을 통해 존재하게 된 것들을 ‘상호주관적 실재’라고 부른다. 즉 NFT는 과거에는 상상하기 힘들었던 사람들 사이의 약속을 블록체인이라는 신뢰도 높은 장치를 통해 끌어냄으로써 디지털 작품이 과거 유화나 조각 작품들과 다름없는 금전적인 가치를 가질 수 있게 해준 것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민주 '순백의 여신'
  • 김민주 '순백의 여신'
  • 한지은 '매력적인 미소'
  • 공효진 '공블리 미소'
  • 이하늬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