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기구의 백신 지원도 거부
아직까진 방역 효과 유효 방증
코로나 추세, 교류재개 관건 될 듯

북한은 코로나19 발생 초기부터 가장 큰 외화 획득 수단이었던 북·중 무역을 중단하는 등 국경을 막고 강력한 봉쇄정책을 써왔다. 최근 국경 지역에서 무역 재개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지만, 아직까지는 이런 기조에 후퇴가 없다는 것이 북한 전문가들의 공통된 진단이다.
감염병 위기 속 방역을 체제 안정을 좌우하는 최우선 과제로 여기고 있다는 얘기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5일 통화에서 “북한은 메르스, 사스 등 감염병 확산 경험을 통해 자신들의 취약한 보건의료 인프라가 무너질 경우의 파급 효과를 잘 알고 있다”며 “강력한 봉쇄 기조는 지난해와 비교해서 현재도 거의 변하지 않았다”고 진단했다.
북한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모든 무역을 중단했을 뿐 아니라, 외교 관계도 단절하다시피 했다. 지난해 평양 주재 영국, 스웨덴 등 대사관의 철수를 시작으로 올해 상반기에도 체코·나이지리아·파키스탄 대사관이 줄줄이 평양을 떠났다.

강력한 봉쇄정책의 또 다른 축으로 2019년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본격화된 자력갱생 기조가 자리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자력갱생 기조를 통해 자체 경제개발계획을 세운 북한이 경제적 이득을 위해 섣부르게 봉쇄 책을 포기하기보다 당분간 문을 더 걸어 잠그는 편을 택했다는 것이다.
올해 초 제8차 당대회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이 천명한 자력갱생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이 코백스 퍼실리티 등 국제 백신 공급기구의 백신 지원을 받지 않는 것 역시 아직까지 봉쇄정책의 효과가 유효하다는 방증”이라고 설명했다. 임 교수 역시 “북한 입장에서는 국제기구에서 들어오는 적은 양의 백신 지원을 구걸하듯이 받는 데 대한 거부감이 있을 것”이라며 “방역에서도 자력갱생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짚었다.
북한은 더 나아가 방역 성공을 정권의 치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지난해 7월 노동당 중앙위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김 위원장은 “우리는 세계적인 보건 위기 속에서도 악성 비루스(바이러스)의 경내 침입을 철저히 방어하고 안정된 방역 형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전체 인민의 고도의 자각적 일치성이 쟁취한 자랑스러운 성과”라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럼에도 정부와 전문가들은 결국 코로나19 추세가 북한의 교류 재개 시점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관측한다.
이종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방역수요 등이 북·중 간 물자교류 재개 시점 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