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지하철 '19금 詩'에.."엄마 화냥기·용두질이 뭐야" 화들짝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1-07-20 09:10:51 수정 : 2021-07-20 09:10:49

인쇄 메일 url 공유 - +

19일 오후 광주 지하철 1호선 열차 안에 선정적 내용의 시가 붙어있는 모습이다. 뉴스1

 

지난 19일 오후 5시쯤 광주 지하철 1호선 열차 안에서 다섯 살배기 여자아이가 우렁찬 목소리로 열차 안에 부착된 시 한 편을 따라 읽었다.

 

“근질근질한 화양기(화냥기)로 연두색 치마 까지도(깔지도) 않고! 텅급하게(성급하게) 은밀한 곳 용두질하여 파악!”

 

고사리 같은 아이 손을 붙잡은 30대 후반 엄마의 얼굴은 점차 붉어졌다. 시의 내용이 무언가 이상했던 것이다.

 

학부모 이 모씨는 “얼마 전 딸이 한글을 뗐는데 아는 단어나 글자만 나오면 따라 읽으려고 한다”며 “평소처럼 병원이나 학원 광고를 읽는 줄 알았는데 내용을 들어보니 낯뜨거운 시라서 깜짝 놀랐다”고 목소리 높였다.

 

이어서 그는 “아마 딸은 단어의 뜻을 전혀 모를 것이다. 모르는 게 차라리 다행인지 아니면 더 걱정해야 될 일인지 모르겠다”며 “나이 불문 남녀노소 타는 지하철에 왜 저런 내용의 시가 붙어있는 것이냐”고 분통을 터뜨렸다.

 

시의 내용을 보고 놀란 것은 학부모뿐이 아니다. 노약자석에 앉아있던 몇몇 노인들은 아이의 눈을 쫓아 시를 따라 읽고는 “낯짝 부끄럽다”며 혀를 끌끌 찼다고 전했다.

 

한편 문제의 시는 ‘영취산, 진달래’란 제목의 모 시인 작품으로 해당 시는 전남 여수 영취산에 핀 봄날의 진달래 풍경을 성적 행위에 빗대어 표현했다. 예술적 은유로 ‘화냥기’와 ‘용두질’ 같은 표현을 사용했다.

 

그러나 화냥기와 용두질이란 단어의 뜻인 ‘남자를 밝히는 여자의 바람기’, ‘남성이 여성과의 육체적 결합 없이 자기의 생식기를 주무르거나 다른 물건으로 자극하여 성적 쾌감을 얻는 일을 낮잡아 이르는 말’을 고려하면 공공장소에 어울리지 못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으나 예술 작품에 도덕적 잣대를 요구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는 반대 의견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하철 이용객 박 모씨는 “예술 작품을 작품 그대로 봐야지, 그 의미를 따져서 잘잘못을 따지는 것이 옳지 못하다고 본다"고 전했다. 이어서 그는 “명화들을 보면 여성의 누드 그림도 있고, 성적 행위를 하는 모습도 있지 않냐”며 “당시의 시민들이 화가들에게 잣대를 들이밀었다면 엄청난 작품들은 나오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같이 시를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광주도시철도공사 관계자는 뉴스1과의 통화에서 당황함을 감추지 못했다고 밝혔다. 공사 측은 여지껏 문제를 인지하고 있지 못한 데다 게재된 시의 선정 기준이 모호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점검을 약속했다.

 

공사 관계자는 “시민들이 생활 속에서 문화생활을 할 수 있게 하려고 광고가 붙지 않은 게시판에 시화를 설치했다”며 “당시 전문 단체와 시인과의 협업 등으로 게재했지만 명확한 선정 기준을 마련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이어 “현재 열차가 운행 중이니 빠른 시일 내로 열차를 점검해 이 시와 다른 시화들에 대해서도 확인 절차를 거치겠다”고 약속했다.


강민선 온라인 뉴스 기자 mingtung@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
  • 김지연 '청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