틸트로터·회전익형 중 결정 전망
방사청, 업체 선정 후 2022년 계약
일각 “구체 형상 없이 진행” 우려
1조3000억원 규모의 수직이착륙형 정찰용 무인항공기 도입 사업이 본격화한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조명희 국민의힘 의원이 3일 방위사업청에서 제출 받아 분석한 내년도 예산안 자료에 따르면, 수직이착륙형 정찰용 무인항공기 연구개발비 31억3500만원이 내년에 편성됐다.
수직이착륙 무인기 도입은 기존 고정익형 무인기의 이착륙 제한사항을 극복하고 작전 대응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사업이다. 산악지형이 많은 동부전선 일대에서는 무인기 이착륙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아 수직으로 뜨고 내리는 무인기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수직이착륙 무인기의 구체적인 형태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나, 틸트로터형과 회전익형 중에서 결정될 전망이다. 틸트로터형은 미군 V-22처럼 이착륙 시 날개 양 끝의 프로펠러가 하늘로 향해 있다. 헬리콥터와 같은 회전익 형태로 작동해 수직이착륙이 가능하고, 비행 시에는 일반 항공기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바꾼 고정익 형태로 작동해 고속비행이 가능하다. 회전익형은 MQ-8처럼 헬기와 유사한 형태다. 틸트로터형보다 속도는 느리지만, 세계 각국에서 회전익형 무인기를 사용하고 있어 기술적으로 충분한 검증이 이뤄졌다. 이런 배경으로 사업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작다는 평가다.
지난해 4∼7월 안보경영연구원 분석 자료와 방위사업청 제출 자료를 바탕으로 국회예산정책처가 집계한 전체 사업비는 1조3000억원 안팎이다. 틸트로터형은 연구개발비 1453억원, 양산비 1조45억원, 시설비 1935억원으로 잠정 총사업비가 1조3433억원으로 예상됐다. 회전익형의 경우 연구개발비 1349억원, 양산비 9054억원, 시설비 1935억원 등 총 1조2338억원이 들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해 2월 중기소요가 결정됐으며, 지난 6월 사업추진 기본전략이 수립됐다. 이후 지난달 사업타당성 조사 결과 사업 추진이 결정됐다. 방사청은 업체 선정 작업을 거쳐 내년에 계약을 체결할 방침이다.
일각에서는 방사청이 천문학적인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을 구체적 형상에 대한 가이드라인도 정하지 않은 채 진행하는 것을 놓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일례로 틸트로터형과 회전익형의 연구개발비만 100억원 이상 차이가 발생해 추후 결정에 따라 사업비 조정이 불가피하다. 방사청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복수의 업체 참여를 유도해 최적의 결정을 내리겠다는 입장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