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종교·민간, 녹색생활 거리 여전
세계인구 84% 신앙인… 종교계役 부각
“조금 덜 소비… 생명의 순환 회복해야”
사찰 내 태양광 설치·일회용 반입금지
‘쓰레기 제로’ 실천 제안… 녹색기조 주문
“종교 간 연대 통한 기후 공동대응을”
최근 열린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와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주요 의제는 ‘기후변화’였다. 올해만 해도 서유럽 지역에 기록적인 홍수가 내렸고, 캐나다를 덮친 폭염은 수백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등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가 커지고 있다. 각국 정상은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뜻을 모았지만, 여전히 일상에서는 일부 환경운동가의 공허한 외침으로 느껴지는 것이 사실이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종교계 역할이 강조되는 배경이다. 전 세계 인구의 84%가 종교적 신념을 갖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종교가 먼저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종교계 차원 움직임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기점으로 다각화되고 있다. 로마교황청은 지난해 12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발표했고, 세계교회협의회(WCC)를 비롯한 기구들도 공동행동에 나서고 있다. 반면 탄소배출 세계 10위권인 국내에서는 탄소배출 감축 목표치가 제시됐을 뿐 변화를 체감하기 어렵다. 정부 차원의 구체적 이행방안이 부실한 것은 물론 종교계나 민간 차원의 움직임이 ‘보여주기’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최근 대한불교조계종(조계종)이 ‘기후변화와 불교실천 과제’를 주제로 개최한 세미나에서는 종교계의 이런 고민이 묻어났다. 조계종이 종단 차원에서 기후변화를 주제로 세미나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만큼 종단 차원에서도 변화의 필요성을 체감하고, 동시에 가야 할 길이 멀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계종은 올 들어 환경 문제에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조계종 총무원장인 원행 스님은 지난 1월 “불자들이 탄소 배출을 줄이고 환경친화적 생활 실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선언했다. 불교계 최대 행사인 부처님오신날 봉축사에서도 “욕망을 절제하고 조금 덜 소비하고 약간의 불편을 기꺼이 감수해 탄소중립과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통해 생명의 건강한 순환을 회복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설파했다. 지난 6월5일 세계환경의날에는 ‘탄소중립과 생명전환을 위한 대한불교조계종 담화문’을 발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불교계가 향후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 목표와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유정길 녹색불교연구소 소장은 녹색불교를 위한 3가지 활동 기조를 제시했다. △더 나빠지지 않도록 감시하고 저항하며 위험 유발을 지연하는 활동 △일상의 토대를 바꾸는 생명지속사회의 대안 행동 △인식과 가치관 바꾸기 운동이다. 유 소장은 “저항과 감시, 반대하는 운동은 더 나빠지는 것을 막는 행동일 뿐, 우리가 원하는 대안사회를 만들 수 없다”며 “우리의 삶의 토대를 바꾸는 생명지속사회의 대안행동으로 전환적 행동과 그러한 가치를 구현하는 활동이 넓고 깊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 문제가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에서 비롯된 만큼, 사찰 차원의 성찰도 주문했다. 가령 사찰을 무분별하게 확장하는 것이 환경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지적이다.
유 소장은 “신도와 스님이 줄고 있는 마당에 관리가 어렵고 연료비도 많이 드는 대형 불사는 자제해야 한다”며 “최대한 인근의 산림과 계곡을 파괴하지 않는 선에서 최소로 개발하고, 사전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친환경적 불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관광보다 수행환경을 우선적으로 삼고 불사는 전통경관과 자연 풍수를 고려하여 주위 환경과 조화를 이루게 해야 한다”며 “기존의 전통사찰은 에너지 효율이 없으므로 단열과 효율을 높이고, 사찰의 경관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주차장이나 사찰 농지에 태양광이나 재생에너지 시설을 설치하는 것도 고려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사찰이 먼저 본을 보이는 일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유 소장은 “사찰에 ‘쓰레기 제로’ 실천을 제안한다”며 “어떤 종류의 쓰레기가 많이 나오는지를 확인해서 하나씩 없애는 방법을 찾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앞서 정토회 에코붓다의 경우 1999년 정토회 건물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를 없애기 위해 1년여간 매일 쓰레기의 성격을 분석했고, 이것을 매달 발표해 양을 줄였다. 최종적으로는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일회용품이나 캔, 비닐 등의 사용과 반입을 금지했다.
유 소장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시작으로 인식 제고를 강조했다. “불교 내에서 환경 문제와 기후 위기에 대해 강한 문제의식을 느끼지만 어떻게 실행해야 할지, 무엇을 해야 할지 막연할 뿐”이라며 “종단 차원에서 기후 문제에 대한 의제의 비중을 높이면서 우선순위를 바꿔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계종을 비롯해 가톨릭과 개신교 등 종단별 기후변화 대응 실태를 발표한 한주영 불교환경연대 사무처장은 “민간 부분에서 차지하는 종교의 역할이 결코 작지 않기 때문에 함께 힘을 모아야 할 중요한 시기임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그는 “종교 간에 우월의식과 벽을 허물고 참된 삶을 지향하는 종교인들의 대화와 만남이 우선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앞으로 종교환경회의가 가지는 연대의 경험이 시민사회 영역을 넘어서 전 교단 차원에서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종교 간 연대와 대화를 이끌어 내는 데 씨앗이 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