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회피 BA.5 주내 우세종으로
11일부터 지원금 중위소득 이하만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2/07/10/20220710513944.jpg)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유행 시계가 빨라졌다. 이르면 올가을로 예상됐던 재유행은 시기가 점차 앞당겨져 ‘8월 말’ 가능성이 나오더니 이제는 ‘8월 중순 정점’ 전망까지 언급된다. 이미 재유행 초입에 들어선 가운데 앞으로 확진자는 계속 늘 것으로 보이나, 정부가 앞서 예고한 대로 11일부터 격리지원금 지급 대상이 ‘중위소득 이하’로 대폭 축소된다. 정부는 13일 격리의무 해제 여부를 포함한 방역·의료체계 등 재유행 대응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10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신규 확진자는 2만410명이다. 전날(2만286명)에 지난 5월25일 이후 45일 만에 확진자 2만명을 넘었는데 이틀 연속 2만명대 확진자가 나온 것이다. 한 주 전보다 확진자가 두 배로 증가하는 ‘더블링’은 7일째 이어지고 있다. 특히 검사 건수가 줄어드는 주말에 평일보다 확진자 수가 늘면서 여름 재유행이 현실화하는 모습이다. 정부도 지난 8일 유행이 확산 국면으로 돌아섰다고 공식화했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2/07/10/20220710514019.jpg)
국내 유행은 전 세계에서 코로나19가 재확산하는 상황과 무관치 않다. 여름 휴가철을 맞아 국내외 이동량이 많아졌고, 이에 따라 해외 일부 국가에서 우세종이 된 오미크론 하위변이 ‘BA.5’도 국내에 빠르게 퍼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확진자 중 해외유입 사례는 250명으로 165일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주 검출률이 28%까지 올라온 BA.5는 이번 주 국내에서 우세종이 됐을 가능성이 크다. 한동안 우세종이었던 ‘BA.2’보다 전파력이 강하고 면역회피 특성이 있는 BA.5의 확산세가 빨라짐에 따라 전문가들은 국내에서도 이르면 다음 달 중순쯤 하루 확진자가 10만∼20만명이 나오거나, 늦어도 9월에는 재유행이 정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유행이 본격화한 가운데 오늘부터는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인 가구만 격리됐을 때 생활지원비를 받을 수 있다. 유급휴가비는 종사자 30인 미만 중소기업에만 지원된다. 확진자의 치료비도 앞으로 본인이 부담한다. 다만 상대적으로 고액인 입원치료비와 팍스로비드 등 먹는 치료제, 의사가 상주하지 않는 요양시설 입소자의 치료비는 국가가 계속 지원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