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기준치 최대 322배 달해
“장기 노출 땐 백혈병 발병 위험”
목에 걸어 쓰는 형태의 휴대용 선풍기에서 세계보건기구(WHO) 발암유발기준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한다는 환경단체의 조사결과가 나왔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26일 대형마트나 서점 등 시중에서 판매되는 목걸이 선풍기 4개 종류와 손 선풍기 6개를 구매해 전자파를 측정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목 선풍기의 날개 쪽과 모터 쪽에서 총 6회 전자파를 측정했을 때 최소 3.38mG(밀리가우스), 최대 421.20mG가 나왔고 평균치는 188.77mG였다.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전자파를 발암가능물질(2B)로 분류한다. 4mG 이상의 전자파에 장기 노출될 경우 소아백혈병 발병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손 선풍기에서는 최소 29.54∼최대 1289mG, 평균 464.44mG의 전자파가 발생했다.
단체는 “손 선풍기는 사용 거리를 조절할 수 있지만 목 선풍기의 경우 목에 걸어 쓰는 형태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기 어려운 구조라 높은 전자파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며 “어린이들과 청소년들은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손 선풍기도 25㎝가량 거리를 두고 사용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목 선풍기 10개 제품의 전자파를 측정해 인체보호기준의 0.4∼13% 수준에 그쳤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정부가 기준으로 삼는 국제비이온화방호선위원회(ICNIRP) 기준인 883mG는 장기적인 영향을 반영하기 어렵다는 게 단체 주장이다.
이와 관련, 과기정통부는 이날 보도참고자료를 내고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등의 국내외 표준절차에 따라 전자파 세기를 측정하겠다”며 “그 결과를 조속히 공개해 국민에게 생활제품 전자파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