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일반인 1만명을 대상으로 이뤄진 코로나19 항체양성률 검사를 통해 우리 국민 중 미확진 감염자가 1000만명인 것으로 추산되면서 의료 대응책의 새 판 짜기가 불가피해졌다.
뉴스1에 따르면 무증상이어서 감염 자체를 자각 못해, 또는 증상이 있지만 확진자로 등록되면 생계에 지장이 될까봐 확진 판정을 받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유가 무엇이든 이러한 미확진 감염이 이어질 경우 유행을 확산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질병관리청은 23일 전국 17개 시·도에서 예방접종 대상인 5세 이상 1만명(실제 항체 분석 대상은 9901명)의 표본 집단을 추출해 코로나19 항체 양성률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국민 97.38%는 S 항체(백신 유도 또는 자연감염 통한 항체)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대부분이 자연감염을 통해서든, 백신 접종을 통해서든 항체를 갖고 있다는 의미다.
자연감염에 의한 N 항체에는 57.65%가 양성 반응을 보였다. 조사 당시인 7월30일 기준 확진자 누적 발생률이 38.15%인 점을 감안하면 자연감염 항체양성률이 정부가 집계한 감염률보다 19.5%p 높다. 즉 알려진 코로나19 발생률에 비해 실제로 코로나19에 걸려 항체가 형성된 인구가 그만큼 더 많다는 의미다. 국민의 약 20%, 1000만명이 미확진 감염자인 셈이다.
전문가들은 오미크론 계열 변이에서 무증상 환자가 많은 것을 미확진 감염자가 발생한 원인으로 들었다. 오미크론의 무증상 감염률이 거의 절반에 이르다 보니 발견된 확진자보다 지역사회에 발견되지 않은 감염자가 더 있다는 뜻이다.
연령별로는 사회활동이 많은 40~50대의 미확진 감염자가 많았다. 연령대별 미확진 감염률은 50대가 27.6%로 가장 높았고, 40대가 24.8%로 뒤를 이었다. 60대도 22.7%로 평균 이상이었다. 80대 이상은 5.4%로 가장 낮았다.
조사를 주관한 한국역학회의 김동현 회장(한림의대 예방의학 교수)는 "(미확진 감염자는) 증상이 없어 지나가거나 격리에 대한 우려 때문에 그냥 지나간 것으로 추정된다"며 "40~50대는 경제활동인구가 많고 가구·가정을 책임지는 세대라는 점이 반영됐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미확진 감염자는 영국 등 다른 나라에 비해 작은 규모고 일부 전문가가 예상한 확진자의 2배도 아니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제2부본부장은 이에대해 "검사에 대한 접근성, 국민들의 협조 덕분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우리나라의 진단 검사와 역학 조사 체계가 타 국가에 비해 잘 작동했다는 의미"라고 평가했다.
19.5%p의 미확진 감염자의 존재로 인해 기존의 방역 정책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권 본부장은 "향후 오미크론 정도의 전파력과 무증상 감염률, 또 여러 유사한 특징을 가진 코로나 유행이 시작되면 의료 병상 준비라든지 치료제 준비에서 실제로 발견되는 규모에 비해 19.5%p를 더 생각해서 준비해야 된다는 함의"라고 설명했다.
이어 "나아가 지역별로도 미확진 감염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그런 지역일수록 감시체계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미확진 감염자를 방역당국의 관리가 미치는 영역 내로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증세가 있음에도 생계 등의 문제로 검사를 피하는 경우가 없게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가 유행 확산기에는 더 강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