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신화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가 국제사회에서 북한 김정은 정권의 인권 유린 실태를 고발하며 존재감을 알린다. 이 대사는 임명 이후 처음으로 유엔총회 회의에 참석해 북한주민들의 인권과 민생을 도외시한 북한의 행태를 규탄하고 국제사회의 지속적 관심을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24일 외교부 등에 따르면 이 대사는 오는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리는 제77차 유엔총회 제3위원회 회의에서 ‘북한인권특별보고관과의 상호대화’에 한국 정부 대표로 참석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추진되고 있다. 이날 외교부 관계자는 “유엔총회 3위원회에서 엘리자베스 살몬 특별보고관과의 상호대화가 개최될 예정”이라며 “동 상호대화에 이신화 대사가 참석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이 대사도 세계일보와 통화에서 “현재 정부와 상호대화 참석과 관련해 조율중”이라며 “유엔총회 계기로 25일 출국하는데 (북한인권대사로서) 미국에서 다양한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특별보고관과의 상호대화는 매년 3월 유엔 인권이사회와 10월 유엔총회 3위원회에서 개최된다. 특별보고관이 북한 상황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계획을 브리핑하고 회원국들이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우려와 관심사항을 전달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살몬 특별보고관은 지난 13일 유엔총회에 처음으로 제출한 북한인권상황 보고서에서 중국과 러시아를 직접 거론하며 탈북민에 대한 강제송환금지 원칙을 적용할 것을 촉구하는 등 북한 인권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권고했다.

이 대사는 2017년 이후 약 5년간 공석이던 북한인권대사에 지난 7월28일 임명됐고, 살몬 특별보고관은 지난 8월1일부터 업무를 시작했다. 앞서 2016년에도 당시 8월 임기를 시작한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특별보고관과 9월 임명된 이정훈 북한인권대사가 10월 유엔총회 3위원회에서 열린 상호대화에서 얼굴을 맞댄 바 있다.
윤석열정부는 전임 문재인정부보다 북한인권 문제를 국제사회에서 공론화하는 데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다음달 중순경 유엔총회 3위원회와 12월 중순 이후 본회의에서 논의되는 북한인권결의안 채택에 적극 동참하고 유엔 내에서 북한인권 문제를 지속적으로 공론화해나갈 것으로 관측된다. 최근 정부는 한반도 정세에 미칠 영향 등을 이유로 2019년부터 북한인권결의안 공동제안국 명단에서 빠졌던 전임 정부와 달리 4년 만에 공동제안국 복귀를 시사하기도 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