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고독사, 고령층만의 문제 아냐… ‘단절’ 해소 시급” [2023 대한민국 孤 리포트]

, 세계뉴스룸

입력 : 2023-03-19 22:45:36 수정 : 2023-03-19 22:50:1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유품정리업체 에버그린 김현섭 대표

고독사 10명 중 6명은 50∼60대
“누구나 살면서 삶의 부침 겪어
우리 사회가 재기할 기회 줘야”

“‘왜 고독사에 이르렀을까’를 고민해야죠. 그 과정을 생각해봐야 해요. 사실 현장을 다녀보면 경제적인 이유가 대부분이거든요. 정부에서 무작정 돈을 쥐여줄 순 없으니 여러 방식을 통해서 일할 기회나 재기할 터전을 만들어주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특수청소업체 에버그린의 김현섭 대표.

특수청소업체 에버그린의 김현섭(41·사진) 대표는 2020년부터 유품정리사로서 일하는 중이다. 스무 살 무렵 일본에 8개월가량 살았던 터라, 유품정리사란 직업에 관심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다 평범하게 직장 생활을 하던 2019년 회사를 그만두고 유품정리사가 됐다. 김 대표는 “남이 못하는 걸 하고 싶었다”며 “비전이 있다는 생각에 1년 정도 공부한 뒤 2020년부터 일을 시작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고독사 현장을 누구보다 많이 접하는 김 대표는 고독사를 줄이기 위해선 고립된 이들이 재기할 기회를 주는 게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누구나 이혼이나 건강 등의 문제로 삶의 부침(浮沈)을 겪을 수 있다. 그러다 보면 경제 활동이 단절되는 경우가 있는데, 우리 사회는 이럴 때 재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실제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발표한 고독사 실태조사 자료를 보면 2021년 기준 50∼60대가 58.6%로 대다수를 차지한다. 보통 사망자는 고연령자일수록 많은데 고독사는 그 형태가 다른 셈이다.

 

김 대표가 거의 매일 찾아가는 고독사 정리 현장엔 어떤 특징이 있을까. 김 대표는 가장 먼저 ‘주거 환경’을 언급했다. 그는 “반지하나 원룸 등 주거 환경이 좋지 않은 게 특징”이라며 “상대적으로 소득 수준이 낮은 동네에서 이 같은 일이 잦다”고 했다. 이어 김 대표는 “연체된 세금이 있다거나 주식 투자에 실패한 일지가 있는 등 금전적인 문제를 고민한 흔적이 매우 많다”고도 덧붙였다.

 

죽은 이의 마지막 흔적을 정리하다 보면 죽음에 대한 생각도 많아질 수밖에 없다.

 

“죽음이라는 게 너무 멀리 있지 않고 언제나 우리 가까이 있는 거죠. 죽음을 미리 생각해보고 준비하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 생각했어요. 죽음 이후에 내가 주위 사람들에게 어떻게 비칠지, 내가 남긴 금전적인 문제들로 지인들이 손해를 입진 않을지…. 이런 생각들을 많이 해봤어요. 준비는 못해도 생각은 해보는 게 좋은 것 같아요.”

 

김 대표는 결국 ‘단절’이 사라져야 고독사도 줄어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혼자 살다 보면 무기력해질 수 있고 교류가 없어지면 결국 나락에 빠질 수 있다”며 “그때 한 번만 손을 내밀어 줄 수 있는 지역 사회나 주변 사람이 있으면 안 좋은 상황에 부닥치지 않는다. 그런 게 중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희진 기자 hee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수지 '우아한 매력'
  • 송혜교 '반가운 손인사'
  • 김희애 '동안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