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가스화 공정 통해 전기 생산
한국전력에 판매 1억원 이상 수익
온실가스 감축 효과 年 2500t 달해
환경오염 주범서 신재생에너지로
정부, 축산 온실가스 30% 감축 목표
재생에너지 생산 15%로 확대 계획
#. 충남 청양군에 있는 칠성에너지에서는 특별한 ‘발전’(發電)이 이뤄지고 있다. 이곳에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재료는 가축의 분뇨. 칠성에너지에서는 하루 가축분뇨 약 205t, 음폐수 약 30t을 ‘혐기성 소화 방식’을 통해 퇴비·액비로 만들어 농경지에 살포한다. 혐기성 소화는 무산소 상태에서 미생물에 의한 생분해성 유기물이 분해되는 과정을 말한다. 분뇨와 음폐수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고, 이를 전량 포집해 다시 전력으로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전력을 한국전력에 판매해 올리는 수익이 연간 1억원이 넘는다. 전력 생산으로 인한 연간 온실가스 감축 효과도 2500t에 달한다. 이뿐 아니다. 바이오가스 발전을 할 때 유실되는 폐열을 활용해 인근 농가의 시설하우스에 온수를 공급하고 있다. 온수를 공급받고 있는 농가는 연간 난방비 약 1억4000만원을 절감하고 있다. 가축분뇨 처리와 온실감스 감축, 농가 지원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고 있는 셈이다.
그동안 악취,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불리던 가축분뇨가 신재생에너지로 거듭나고 있다. 바이오가스, 고체연료, 바이오차(Biochar) 및 바이오플라스틱 등 활용 범위도 다양하다. 정부는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을 위해 가축분뇨를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활용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가축분뇨는 지역별 발생량이 예측 가능하고 유통망이 존재해 효율성이 높다는 판단이다.
23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가축분뇨는 최근 다양한 형태의 재생에너지로 이용되고 있다. 가축분뇨는 △바이오가스화 공정을 통해 메탄을 생산해 전기로 만들어지고 △고체연료로 제조해 난방용 보일러 연료나 제철소·발전소의 수입 유연탄을 대체하고 △탄소고정 물질이자 토양개량제로 사용되는 바이오차 등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과 난방비 절감 등에 쓰인다.
하지만 가축분뇨는 여전히 비료로 이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지난해 농식품부가 진행한 축산환경실태 조사에 따르면 가축분뇨의 87.1%가 퇴비와 액비 등 비료화 중심으로 처리되고 있다. 바이오가스 등 에너지화 비중은 1.3%에 그친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가축분뇨의 환경친화적 활용 방안을 공유하고 확산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 14일에는 충남 청양에서 현장 간담회를 갖고 가축분뇨를 신재생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사례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지금 농업·농촌은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그에 따른 에너지 문제 등 중대한 전환기를 맞고 있고, 신재생 에너지 전환은 반드시 가야만 하는 길”이라며 “신재생에너지 활용사례가 더욱 확산하도록 현장의 의견 등을 포함해 과감한 제도개선과 정책 강화, 기술개발과 보급 확대 등 모두가 원팀으로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2020년 발표된 우리나라 탄소중립 선언에 맞춰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 중이다. 탄소중립 선언에 따르면 2030년 농축산분야 온실가스는 2018년 대비 약 22.6% 적게 배출돼야 한다. 특히 축산업은 전체 감축량의 56.1%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부분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2월 ‘축산환경개선 대책’을 발표하면서 2030년까지 축산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을 30% 감축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들을 내놨다. 축산환경 개선을 통한 축산분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사육과정에서의 불필요한 투입요소를 최소화하는 저탄소 사양관리 △정화처리·바이오차·에너지화 이용 확대 등 가축분뇨 적정처리 △축산악취 개선 △축산환경개선 기반 구축 등이 중점 사안으로 포함됐다.
우리나라 가축분뇨 발생량은 2020년 5194만t에서 2030년에는 5562만t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발생량이 늘어남에 따라 정부는 2020년 기준 10% 수준인 가축분뇨 정화처리 비중을 2030년까지 25%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또 가축분뇨를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생산 비율을 2020년 현재 1.3%에서 2030년에는 15%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자체·공공기관 등이 운영하는 공공형 가축분뇨 에너지화 시설을 2030년까지 10개소 설치하고, 기존 공동자원화시설 및 공공처리시설(환경부)의 에너지화 연계 등을 적극적으로 유도해 나가기로 했다.
그동안 퇴비로만 활용했던 고체분의 경우에는 가축분뇨 퇴비화 비중은 줄이고 가축분뇨를 이용한 고체연료, 바이오차, 바이오플라스틱 등 비농업계 처리 비중을 8%까지 확대한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