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韓, GDP 대비 가계부채 비중 ‘껑충’… OECD 최고 증가폭

입력 : 2023-10-03 22:00:00 수정 : 2023-10-03 22:18:2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IMF ‘세계부채 데이터’ 분석

2017년 92%→ 지난해 108.1% 기록
5년 새 16.2%P ↑… 유일한 두 자릿수
170조원 넘게 늘어난 주담대 영향
같은 기간 기업 부채도 26.6%P ↑
민간 부채 증가폭도 ‘OECD 최고’
정부도 부채 늪… ‘트리플 경고등’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최근 5년 새 가파르게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교 가능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고 증가율이다. 특히 가계부채의 큰 축인 주택담보대출은 5년 새 170조원 넘게 늘어난 상태다. 여기에 기업과 정부 부채까지 급증하면서 한국 경제의 3대 주체가 모두 빚더미에 시달리는 모습이다.

3일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업데이트한 ‘세계부채 데이터베이스’를 보면 지난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8.1%를 기록했다.

 

이는 5년 전인 2017년(92.0%)보다는 16.2%포인트 늘어난 수치로, 민간부채(가계·기업) 데이터가 집계되는 OECD 회원국(26개국) 중 유일한 두 자릿수대 증가다.

한국에 이어 슬로바키아(9.1%포인트), 일본(7.7%포인트), 요르단(6.0%포인트), 룩셈부르크(3.9%포인트), 칠레(2.8%포인트), 스위스(2.5%포인트), 독일(2.3%포인트) 순이었다.

반면, 미국을 비롯해 캐나다, 네덜란드, 영국, 오스트리아, 덴마크, 노르웨이, 포르투갈, 그리스, 아일랜드, 폴란드 등은 가계부채 비중이 감소했다,

한국은 가계부채 비중이 빠르게 늘면서 절대 수준도 스위스(130.6%)에 이어 2위로 뛰어올랐다. 2017년에는 26개국 중 7위였다.

가계부채의 급증은 최근 주담대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예금은행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예금은행 주담대(주택금융공사 모기지론 제외) 잔액은 647조8300억원으로, 2018년 6월(474조8660억원) 대비 172조9640억원(36.4%) 늘었다. 은행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2018년 6월 681조7060억원에서 올해 6월 894조5000억원으로 31.2%(212조7940억원) 증가했다.

최근 1년간 은행권 주담대 증가액은 13조3820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은행권 전체 가계대출이 905조4840억원에서 894조5000억원으로 10조9840억원 줄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최근 주담대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전국 기준 은행 주담대 연체율은 올해 6월 말 기준 0.22%로, 1년 전(0.10%)보다 0.12%포인트 올랐다.

기업부채도 가계부채 못지않게 빠른 속도로 불어나고 있다. 한국의 GDP 대비 비금융 기업부채 비율은 2017년 147.0%에서 지난해 173.6%로 26.6%포인트 증가했다. 룩셈부르크(38.0%포인트)에 이어 두 번째 증가 폭이다.

IMF가 한국의 기업부채 데이터를 처음 집계한 2008년 152.6%를 시작으로 2018년(149.8%) 이후 2019년 154.9%, 2020년 164.8%, 2021년 166.8% 등으로 가파른 우상향 곡선을 그렸다.

가계부채와 기업부채가 급증하면서 GDP 대비 민간부채(가계+기업) 비율 역시 초고속으로 상승했다. 한국의 민간부채의 비율은 2017년 238.9%에서 지난해 281.7%로 42.8%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데이터 확인이 가능한 26개국 중 가장 높은 증가 폭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인 2017년 한국의 GDP 대비 민간부채 비율은 전체 11위였지만, 매년 순위를 끌어올리면서 지난해에는 전체 2위로 올라섰다.

중앙정부 부채 상황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정부 부채는 GDP 대비 54.3%를 기록했다. 2017년 40.1%보다 14.2%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정부부채 증가 폭은 비교 가능한 87개 가운데 16번째를 기록했다.

다만, 절대 비율에서는 GDP의 절반 수준으로 일본(261.3%)·이탈리아(144.4%)·미국(121.4%)·프랑스(111.7%)·캐나다(106.6%)·영국(101.4%)·독일(66.5%) 등 주요 7개국(G7)과 비교하면 낮은 편이다.


세종=안용성 기자, 이강진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유영 '우아한 미소'
  • 이유영 '우아한 미소'
  • 혜리 '깜찍한 볼하트'
  • 고민시 '매력적인 눈빛'
  • 지지 하디드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