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러스, 정부에 “수출 제한 풀어달라” 요구
알고 보니 트러스 지역구 기업…“유권자 대변”
‘반중’ 노선 강조, 실상은 ‘대만 침공’ 돕기

취임 45일 만에 사임해 ‘최단기’ 총리로 불린 리즈 트러스 영국 전 총리가 재임 당시 취하던 ‘반중’ 입장과 달리 비밀리에 중국으로 방산 장비를 팔고자 로비를 벌인 사실이 확인됐다.
해당 장비는 중국의 대만 침공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음에도 트러스 전 총리는 장비 생산 기업이 자신의 지역구 기업이란 이유로 영국의 대중(對中) 수출 제한 정책에 정부가 개입해달라고 요청했다.
16일(현지시간) 폴리티코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러스 전 총리는 지난해 8월 메일 등을 통해 당시 국제통상부 장관이던 케미 베이드녹에게 모 영국 방산기업의 수출 제한을 풀어달라고 요청했다.
해당 기업은 트러스의 선거구 노퍽에 본사를 둔 ‘리치몬드 디펜스 시스템’으로 지뢰 제거 전문 장비를 중국에 수출하고자 했으나, 지난해 4월 정부에 의해 거부됐다.
그러자 트러스 전 총리는 재임 당시 내각에 임명한 베이드녹 장관에게 메시지를 보내 해당 기업의 입장을 대변했다.
트러스 전 총리는 지난해 8월 15일 메일에서 베이드녹 장관에게 “중국에 방산 장비를 공급하고자 (수출 관련) 라이센스 신청서를 제출한 제 유권자를 대신해 이 글을 쓴다”라며 “해당 라이센스를 신속히 처리해달라”라고 요구했다.
앞서 트러스는 현 영국 총리인 리시 수낙과 2022년 차기 총리 자리를 두고 결선 경쟁을 벌일 당시부터 수낙보다 더 강경한 반중 노선을 밝혀온 바 있다.

지난해 5월 트러스 전 총리는 직접 대만을 방문해 “대만은 자유를 위한 전투의 최전선에서 중국에 대항하고 있다”라고 말하는 등 지지 의사를 밝혀 중국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또 같은 해 연설에서 대만 방어를 위한 더 많은 무기 제공을 정치권에 요구하는 연설도 해다.
하지만 지난해 베이드녹 장관에게 보낸 메일에서 트러스 전 총리는 “중국에의 군사 장비 판매를 차단하면 영국 방산기업은 향후 수백만달러에 달하는 매출 손실을 볼 것”이라 말해 암묵적인 경고를 날렸다.
그러면서 “(수출) 라이센스가 부여되지 않으면 중국이 해당 제품을 역설계해 제조할 것”이라 덧붙이기도 했다.
이에 대해 트러스 측 대변인은 “그녀는 단지 사우스웨스트 노퍽의 하원의원으로서 자신의 직무를 수행했다”라며 “유권자의 요구를 접수해 후속조치를 취한 것일 뿐”이라 해명했다.
트러스 전 총리가 개입해 중국에 판매하려 한 장비는 지뢰 및 급조 폭발물을 탐지해 제거하는 장비다.
해당 중국에 대한 영국의 무기 금수 조치에 포함되진 않으나, 전문가들은 이 장비가 미래 중국이 대만을 침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앤드루 예 중국전략위험연구소 전무이사는 “대만군은 지상에서 (중국군의) 진전을 늦추기 위한 지뢰 설치 등 전략을 쓰고 있다”며 “해당 장비가 중국에 수출돼 대만 침공 시나리오에 사용될 수 있는 위험을 고려하지 않는 것은 순진한 생각”이라 비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