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펜데믹 후, 온라인 쇼핑비중 50% 넘었다…MZ, 백화점 결제금액↑ [경제 레이더]

입력 : 2024-05-17 06:00:00 수정 : 2024-05-16 19:54:1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후 국민의 소비습관은 어떻게 변했을까. 한 카드사 조사결과 대형마트, 백화점을 포함한 ‘오프라인’ 쇼핑보다는 모바일이나 PC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으로 소비습관이 이동하고 있는 경향이 포착됐다. 2030세대가 백화점에서 결제하는 평균금액도 크게 증가했는데 팝업스토어와 같은 백화점 문화행사에 ‘MZ’ 세대가 지갑을 연 영향으로 추정된다. 

 

삼성카드는 자사 데이터 플랫폼인 ‘BLUE 데이터랩’을 통해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전인 2019년 3월의 자사 결제 데이터와 올해 3월의 결제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전체 쇼핑 취급액이 5년 전 대비 57% 증가했다고 16일 밝혔다. 5년 사이에 온라인으로 쇼핑하는 비중은 분명한 상승 곡선을 그렸다. 전체 쇼핑 취급액에서 온라인 비중이 2019년 3월에는 39.6%였는데, 올해 3월에는 50.4%로 늘어났다. 카드 사용자 절반 이상이 온라인으로 쇼핑한 셈이다. 성별·연령별로 올해 3월의 온라인 쇼핑 비중을 비교해보면, 30대 여성의 온라인 쇼핑 비중이 69.6%로 가장 높았다. 30대 여성 카드 사용자 10명 중 7명가량이 온라인에서 쇼핑한 셈으로, 2019년 44.9%에서 24.7%포인트가 증가했다. 이어 20대 여성(68%), 40대 여성(63%) 등 전반적으로 여성의 온라인 쇼핑 비중이 높았다. 남성 중에서는 20대가 58.6%로 가장 높았으며, 70대 이상 남자가 23.5%로 가장 온라인에서 물품을 구매하는 비중이 작았다.  

 

이 기간 오프라인 쇼핑 비중은 2019년 3월 60.4%에서 올해 3월 49.6%로 줄어들었다. 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등 대형마트에서의 취급액은 5년 동안 1.2% 증가에 그쳤다. 이 기간 온라인을 통해 대형마트에서 물품을 사들인 비중은 10.8%에서 16.4%로 증가했다. 대형마트들이 최근 온라인 구매고객을 겨냥해 배송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확대한 것이 비중 증대로 이어진 원인으로 여겨진다. 

 

젊은층의 백화점 인당 평균 결제금액도 두드러지게 증가했다. 2030세대의 백화점 인당 평균 결제금액은 2019년 대비 2024년 45.2% 늘어났다. 삼성카드는 “다양한 팝업스토어와 같은 백화점 내 문화행사에 ‘MZ세대’의 방문 및 소비가 늘어난 결과로 풀이된다”고 분석했다.


이도형 기자 scop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수지 '우아한 매력'
  • 수지 '우아한 매력'
  • 신예은 '상큼 발랄'
  • 김희애 '동안 미모'
  • 하이키 휘서 '미소 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