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24만 성착취 영상 지운 '디성센터 DNA'…"변형 영상도 꼼짝마"

관련이슈 이슈플러스

입력 : 2024-06-12 15:15:51 수정 : 2024-06-12 15:15:5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2023년 24만여 건 삭제 지원…'정확도 99% 이상' 기술 활용
성인 사이트 310곳에서 수집한 영상 24시간 자동 모니터

"실체가 잡히지 않는 세상에서 울린 경보였습니다"

 

#. 피해자 A 씨는 어느날 모르는 사람들로부터 본인의 영상이 불법 사이트에서 퍼지고 있다는 연락을 받았다. 처음에는 '보이스 피싱'으로 착각했지만, 해당 영상은 결국 본인의 것이었다. 이후 A 씨는 익명의 가해자로부터 만남을 요구하는 협박까지 받았다.

 

사진=뉴스1

지난해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디성센터)가 이런 피해자 영상물을 24만 건이나 삭제한 데는 DNA 검색 기술이 큰 역할을 했다. 정확도가 99% 이상인 DNA는 기존 영상이 자막 추가, 워터마크(식별 표시) 등으로 조작돼도 유사성을 판단해 영상을 찾는다.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11일 오전 서울 중구 중림동 사옥에서 불법 촬영물 삭제 지원 작업을 시연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박성혜 디성센터 삭제지원 팀장은 "DNA는 완전히 동일한 영상을 찾아내는 기존 (삭제 지원 기술인) 해시와 다르게 흑백 화면, 자막 추가, 워터마크(식별 표시), 삽입, 배속으로 조작된 영상까지 유사성을 판단해 99% 이상의 정확도로 (피해자) 영상을 검출한다"고 말했다.

 

쉽게 말해 '해시'는 변형된 영상을 잡아내지 못한다. 지문이 닳고 모양이 달라졌을 때 지문 인식이 잘 되지 않는 것과 같은 원리다. 박 팀장은 "DNA는 가공된 피해 촬영물까지 샅샅히 크롤링(정보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술을 갖춰 '인간의 유전자'를 분석하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센터의 삭제 지원 과정은 △피해 상담 △촬영물 접수 △DNA 기술 기반 검색 △삭제 요청 △지속 지원을 포함한 총 5단계다.

 

모든 접수 절차는 디성센터 온라인 게시판에서 이뤄진다. 여기에서 상담 신청, 동의서 작성, 피해 촬영물 자료(영상 원본, 유포 사이트 URL(인터넷 주소)) 제출이 진행된다.

 

이어 DNA 검색 시스템이 크롤링 기술을 통해 국내외 불법 성인 사이트 310곳에서 수집한 모든 영상·사진을 24시간 자동 모니터링한다.

 

이후 삭제 지원팀 담당자는 DNA 시스템을 통해 검출된 데이터를 확인한 뒤, 피해 촬영물이 게시된 URL 속 영상이 피해자 영상과 같다면 삭제 지원을 진행한다.

 

박 팀장은 "검출 결과에서는 어떤 피해 사례의 몇번째 사진과 성인 사이트에 게시된 어떤 사진이 동일한지 보여주고, 피해 사진이 올라온 URL도 함께 제공된다"고 말했다.

 

또 삭제 지원 시스템에서는 바로 수사기관(검찰·경찰),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온라인 사업자(네이버, 구글, 유튜브, 메타(옛 페이스북) 등)에 삭제를 요청하는 기능도 갖췄다.

 

해외 서버를 둔 불법 성인 사이트과 호스팅 업체에는 '불법성 증명 공문'을 보내고, 해외 기관인 미국 NCMEC(아동·청소년), 미국 CCRI·영국 헬프라인(성인 지원)과 국제 공조 전략을 펼친다.

 

디성센터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시스템을 통해 성인 사이트 운영자 또는 호스팅 사업자에게 이메일로 삭제를 요청한다"고 설명했다.

 

접수 후 삭제 조치까지 걸리는 시간은 사안마다 천차만별이다. 박 팀장은 "단 한 건도 지우지 않는 사이트도 있고, 요청하면 50% 넘게 해주는 사이트도 발견됐다"고 말했다.

 

센터의 이런 도움으로 지난해 피해 영상물 삭제를 지원한 건수는 24만 5416건으로, 전년 대비 15%가량 늘었다. 특히 유인·협박 등에 의한 피해자 자기 촬영·제작 방식이 절반(52.9%)을 차지했다.

 

강명숙 상담연계 팀장은 "그루밍(길들이기) 피해는 처음부터 촬영을 해달라고 말하지 않고, 처음에는 손가락 하나, 방 사진 한 번 보내달라고 유도한다"며 "이후 가해자가 피해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착해 성적 대화를 빌미로 (피해자가) 사진을 찍어 보낼 수 밖에 없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센터는 딥페이크 영상 판단 기술도 강화한다. 박 팀장은 "현재 피해자 얼굴을 인식하고 매칭하는 기술이 시범 단계"라며 "얼굴 검색 시스템을 통해 적합한 촬영물을 찾도록 예산을 확보해 (기술을) 고도화 하겠다"고 강조했다.

<뉴스1>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수지 '우아한 매력'
  • 송혜교 '반가운 손인사'
  • 김희애 '동안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