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지하 500m 방사성폐기물 관리 연구시설 짓는다

입력 : 2024-06-18 11:27:03 수정 : 2024-06-18 11:27:0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정부가 지하 500m 방사성폐기물 관리기술 연구시설을 본격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한국원자력환경공단과 함께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연구용 지하연구시설 확보를 위한 부지공모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는 정부가 2021년 12월 ‘제2차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 등에 따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연구용 지하 연구시설을 활용한 방폐물 관리기술을 확보한다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 뉴시스

총사업비로 5138억원을 투입하며, 부지 선정을 거쳐 2026년 구축사업을 시작, 2032년 최종준공이 목표다. 운영 기간은 2030년부터 약 20년간이다.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은 고준위 방폐장과는 별개의 부지에 건설하는 순수 연구시설이다. 처분시설과 유사한 지하 약 500m에서 우리나라 고유의 암반특성과 한국형 처분시스템의 성능 등을 실험·연구해 국내 지질환경에 부합하는 처분기술을 개발한다. 방사성폐기물을 땅에 묻으면 지속적으로 열이 나는데, 지하 연구시설에서는 방폐물을 땅에 묻지 않고도 인위적으로 발생시킨 열과 지하수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것이다.

 

국내 지질환경에 적합한 처분기술 개발과 전문인력 양성이 이뤄지고, 일반 국민이 고준위 방폐장과 유사한 환경을 체험할 수 있는 시설로도 활용된다.

 

미국‧독일‧스웨덴‧스위스‧캐나다‧벨기에‧프랑스‧일본 등 8개국이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을 운영 중이거나 과거 운영한 바 있다.

 

산업부는 “운영 과정에서 사용후핵연료와 방사성폐기물은 전혀 반입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산업부는 지하 연구시설이 지자체에도 경제적 효과를 유발할 것으로 기대한다. 건설 운영 단계에서부터 재원이 투입되고, 완공 시 연구인력 등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정부 내부적으로 추산한 경제적 기대효과는 1000억∼3000억원이다.

 

시설 부지는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 부지선정평가위원회를 별도 구성해 선정한다. 지상 최소 3만6000㎡가 필요하며, 지하는 단일 결정질암이 최소 6만㎡ 이상 분포해야 한다. 

 

정부는 25일 관심 지자체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하고, 유치의향서는 7월19일까지, 유치계획서는 8월2일까지 접수한다.


이진경 기자 l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박신혜 '미소 천사'
  • 박신혜 '미소 천사'
  • 이세영 '청순미 발산'
  • 뉴진스 다니엘 '반가운 손 인사'
  • 박규영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