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 男 25% “불편함 혼자 해결”
‘계속 혼자 살고 싶어’ 응답도 57%
서울 1인가구 절반 이상은 집안일 등으로 도움이 필요할 때 연락할 대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의 ‘서울시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가사 및 돌봄 문제로 도움이 필요할 때 연락할 대상이 없다고 응답한 1인가구 비율은 56.6%였다. 서울시가 지난 3∼4월 서울에 거주하는 19∼69세 1인가구 1835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적 관계 등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다.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해야 할 경우에 연락할 사람이 없다는 비율은 53.2%에 달했다. 낙심하거나 우울해 이야기 상대가 필요할 때도 연락할 이가 없다는 비율은 34.1%, 사고 등 긴급상황이나 재해가 발생한 경우는 38.9%였다.
외부와 가장 단절이 심한 계층은 중장년(40∼69세) 남성 1인가구였다. 연락할 사람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중장년 남성 집단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중장년 남성들은 불편함을 해결할 때 검색을 통해 혼자 해결한다는 답이 25.1%,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는다는 비율이 26.7%였다. 청년층이나 중장년 여성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전체 1인가구 중 계속 지금처럼 혼자 살고 싶다고 답한 비율은 57.1%였다. 결혼해서 배우자와 살고 싶다는 비율은 22.1%였다.
보고서는 “중장년층은 향후 1인가구로 계속 거주할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정책대상에서 배제돼 왔다”며 “중장년 1인가구에 대한 선제적 정책 개입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