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대국민 사과 요구도
“의료대란 초래한 책임자들에 대한 문책과 경질해야”
더불어민주당은 6일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이 논의되는 데 대해 “2026년 정원 재검토에 국한하지 않고 정원 규모의 과학적 추계와 증원 방식을 포함한 폭넓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민주당 의료대란대책특별위원회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료대란을 해소할 모든 방안을 열어두고 논의해야 할 것”이라며 이처럼 말했다.
대책위는 “지난 3월 의정갈등이 심화될 때 이재명 대표는 여야정 그리고 의료계가 함께하는 협의체를 구성하자 제안한 바 있다”며 “정부와 여당이 이 제안에 대해 6개월이 지난 오늘에서야 답변을 내놓았다. 만시지탄”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협의체 구성이 당의 여러 제안 중 하나일뿐 이 협의체가 정부의 무능과 무책임을 국회에 떠넘기는 수단으로 활용해선 안 될 것”이라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의료대란을 야기한 책임은 명백히 정부에 있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강조했다.
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의료진들의 현장복귀가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도 요구했다. 이들은 “윤 대통령은 국민의 목숨을 위협하는 지금의 의료대란이 정부의 정책실패에 따른 것임을 인정하고, 국민께 사과하라”며 “졸속 정책 추진으로 의료대란을 초래한 조규홍 장관, 박민수 차관 등 책임자들에 대한 문책과 경질을 요구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에 대한 정부와 여당의 전향적 입장 표명을 촉구한다”고 했다.
박주민 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2025년 정원 규모도 논의에서 굳이 배제할 필요는 없다”고 봤다.

그는 “여야의정 협의체를 가동하겠다고 한 이유와 목적은 아마 여당도 다르지 않을 것 같은데 현 의료대란을 해결하고 의료교육을 정상화하고 바람직한 의료 시스템을 만드는 데 필요하다면 폭넓게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은 전날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제안하고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이날 수용 의사를 밝히면서 급물살을 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