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 군대가 약탈해 갔던 조선 왕조의 의궤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후손들을 만날 전용 보금자리를 갖게 됐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상설전시실 2층 서화관 안에 2011년 국내로 돌아온 외규장각 의궤를 전시하는 전용 공간인 ‘외규장각 의궤실’을 새로 꾸미고 15일부터 관람객에 공개했다. 박물관 안에 외규장각 의궤를 위한 별도 공간이 생긴 건 이번이 처음이다. 2011년 외규장각 의궤가 프랑스에서 돌아온 뒤 두 차례 특별전을 열기는 했으나, 그동안은 상설전시관 1층 조선실 한편에서만 의궤를 전시해왔다.
의궤는 조선 왕실이 중요 행사를 치른 뒤 관련된 의례 기록을 모아 만든 책이다. 의례가 어떤 형식으로 얼마의 예산으로 진행됐고 누가 참여했고 어디에서 어떤 물품을 빌려왔는지 등 ‘기록의 나라’ 조선답게 세부 사항을 자세히 적어놓았다.
이번에 전용공간을 갖게 된 외규장각 의궤는 대부분 왕이 보는 ‘어람용’ 의궤였다. 외규장각은 정조(재위 1776∼1800)의 명으로 강화도에 설치됐으며, 조선 왕실의 중요 기록물을 봉안했다. 의궤는 한 번에 2∼9부 만들었는데, 이 중 1부는 어람용이었다. 어람용은 다른 의궤와 달리 초록 비단으로 표지를 만들고 황동 장식으로 꾸몄다. 다른 의궤는 표지 재질부터 내부의 글자수, 표현법, 서체 등에서 어람용과 구분된다.
외규장각 의궤는 병인양요 때 프랑스가 약탈해간 후 프랑스 국립도서관에서 ‘중국 도서’로 분류된 채 잊혀졌었다. 프랑스 측은 한문이 적혀 있으니 으레 중국 도서라 여겼다. 100여년이 지난 후에야 의궤의 존재가 확인됐고, 고 박병선 박사를 비롯한 각계 각층의 노력으로 2011년 프랑스에서 국내로 돌아올 수 있었다.
이번에 공개된 ‘외규장각 의궤실’에서는 이 아픈 역사를 도입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궤실 진입부 양쪽에는 새로 인쇄된 의궤 표지가 도열해 있다. 의궤 297책 가운데 230여 책의 표지를 인쇄했다. 이 책의(책이 입는 옷)를 들여다보면 프랑스 측이 붙여놓은 둥근 스티커에 ‘N. F CHINOIS 2446’ 식으로 중국 도서로 분류했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의궤실 조성을 담당한 김진실 학예연구사는 “외규장각 의궤 대부분은 1970년대 프랑스에서 표지를 현대 직물로 바꾸면서 표지가 분리됐다”며 “그 자체로 외규장각 의궤가 거친 고초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고 말했다.
의궤실은 약 59평(195㎡) 규모다. 진입부를 지나가면 의궤 2책이 놓여 있는 공간이 나온다. 1776년 단원 김홍도가 창덕궁 규장각을 그린 ‘규장각도’, 1880년대에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강화부궁전도’ 등을 참고해 과거 외규장각의 실내 모습을 재현하고자 했다. 어람용 의궤와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유일본 의궤를 돋보이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번에 전시하는 ‘장렬왕후존숭도감의궤’는 1686년 인조(재위 1623∼1649)의 계비 장렬왕후에게 존호를 올린 과정을 기록한 의궤다. 제작 당시의 표지가 그대로 남아 있어 가치가 크다. 의궤실 설계를 맡은 김현대 이화여대 건축학과 교수는 “왕의 서고에 달빛이 스며드는 느낌을 재현하려 했다”며 “전시를 보다 문득 위를 올려다보면 지혜가 확장되는 듯한, 왕의 서고에 있는 듯한 느낌을 받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의궤실에서는 조선 왕실에서 치른 주요 의례와 절차도 살펴볼 수 있다. 숙종(재위 1674∼1720)이 세 차례 가례(왕실 가족의 혼례)를 치른 과정을 기록한 의궤, 숙종의 승하부터 삼년상을 치르는 절차를 기록한 의궤 등이 공개된다. 의궤의 엄청난 두께를 확인할 수 있다.
디지털 기술로 의궤를 설명하는 공간도 흥미롭다. 전시장에 ‘디지털책’을 배치해 관람객이 직접 책을 넘겨보며 의궤에 대해 배우고 내부에 쓰인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했다. ‘효종이 읽어주는 발인반차도’, ‘한 권으로 읽는 의궤’ ‘어람용과 분상용 의궤 비교’ 세 가지 책이 비치돼 있다.
각종 행사에 사용한 물품을 그림으로 기록한 도설 3800여 개도 큰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박물관은 의궤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1년에 네 차례 의궤를 교체할 계획이다. 한 번에 8책씩 연간 32책을 선보인다. 외규장각 의궤실은 국립중앙박물관을 후원하는 모임인 국립중앙박물관회와 국립중앙박물관회 젊은 친구들(YFM)이 비용을 지원해 완성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