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거절률 늘며 공급액 최대 44% 감소
경제적으로 어려운 중·저신용자 등을 대상으로 한 서민금융상품의 거절률이 급등해 취약계층을 돕는다는 취지가 무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8일 김현정 더불어민주장 의원실이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만 34세 이하 청년을 위한 ‘햇살론 유스’는 작년 1∼11월 8만5400건 신청 중 27.8%인 2만3799건은 요건이 안 맞는다는 이유로 거절됐다. 2021년 11.54%였던 거절률은 2022년 14.99%, 2023년 21.51% 등 갈수록 상승하고 있다.
저신용·저소득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근로자햇살론’은 지난해 들어 11월까지 40만7922건 신청 중 24.01%인 9만7922건이 거절됐다. 전년(25.58%)보다는 낮아졌지만 2020년 10.98%, 2021년 15.59%, 2022년 18.97%와 비교하면 크게 오른 수준이다.
최저신용자를 지원하는 ‘햇살론15’는 작년 들어 11월까지 13만419건 신청 중 1만6865건이 거절됐다. 거절률은 2023년(3.02%) 대비 4배 넘게 상승한 12.93%다.
신용카드 발급이 어려운 계층을 위한 ‘햇살론카드’도 지난해 들어 11월까지 거절률(2만2482건 중 2095건 거절)이 9.32%로, 2023년(5.44%) 대비 2배가량 높아졌다.
거절률 상승 여파로 햇살론유스의 작년 11월까지 공급금액은 1721억원으로 2023년 전체(3094억원)보다 44.4% 줄었다. 같은 기간 근로자햇살론의 공급금액은 2조5235억원으로 전년(3조4342억원)보다 26.5%, 햇살론15는 9417억원으로 전년(1조3086억원)보다 28% 각각 감소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