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구독·플랫폼 사업 3·5배로 확장
인도서 IPO 추진… “국민 브랜드 될 것”
코트라 사장, “북미본부 워싱턴 이전”
조주완(사진) LG전자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전시회 CES 2025에 참석해 중국 기업의 전시장을 둘러본 뒤 “그동안 중국 위협을 인식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면 이제는 대응을 위한 실행으로 옮길 단계가 됐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순항 중인 제품 구독 사업은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기업공개(IPO)를 추진 중인 인도에서는 ‘국민 브랜드’가 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조 CEO는 8일(현지시간) 진행한 간담회에서 TCL, 하이센스 등 가전제품을 생산하는 중국 대표 기업 전시장을 둘러봤다며 “중국이 어려우면 가격경쟁력 강화, 위안화 절하 등을 무기로 들고나올 수 있다”며 “LG전자는 기술 기반 제품 리더십, 가격경쟁력 강화, 공급망이나 브랜드 마케팅 등 운영 전략 개선 세 꼭지로 중국에 대응할 계획을 수립 중”이라고 밝혔다.
동석한 류재철 HS사업본부장(사장)은 “중국 업체를 심층 분석한 결과 제조원가를 절감할 벤치마킹 요소를 많이 찾았다”며 “이를 실행하기 위한 연구개발(R&D)을 보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3년부터 가전 구독 서비스를 시작한 LG전자는 앞으로 구독사업을 꾸준히 관리, 확장한다는 그림을 그렸다. 지난해 2조원에 육박했던 구독 사업 매출을 2030년까지 이의 3배 이상으로 키우고, 구독 중단으로 발생한 중고도 관리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다.
최근 삼성전자도 가전 구독사업에 뛰어들었는데 조 CEO는 “경쟁회사가 오히려 시장을 키울 수 있어 긍정적으로 본다”며 4000명 이상의 케어 매니저 등 자사 사업에 자신감을 보였다.
조 CEO는 “인도법인 IPO는 시장 잠재력을 보고 하는 것이고 자금 유입은 부가적”이라며 “인도가 1인당 소득은 낮아도 현지 인재를 확보하고 싶고 많은 공장도 지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LG전자는 지난해 말 인도증시 상장을 공식화한 상태로, 업계에서는 올해 4∼5월쯤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한다. LG전자 가전은 전 제품이 인도 내 판매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이날 강경성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사장도 기자간담회를 했다. 강 사장은 “지난해 연말 이사회에서 조직 개편을 통해 북미 지역본부를 워싱턴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며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미국의 통상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