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호 아니다” 해명에도 비판 거세
당 지도부는 ‘경찰 책임론’ 제기
윤석열 대통령 구속에 반발한 지지자들이 서울서부지법에서 폭력 난동을 부리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여당인 국민의힘 일각에선 이들을 옹호하는 듯한 발언이 잇따라 나와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한민수 대변인은 20일 오전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이 서부지법 폭동을 교사하고 조장했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며 윤 의원 제명촉구 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윤 의원은 지난 18일 서부지법 앞에서 시위대 일부가 법원 담을 넘다 경찰에 체포되자 “17명의 젊은이가 담장을 넘다가 유치장에 있다고 해서 (경찰) 관계자와 얘기했고 아마 곧 훈방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윤 의원 발언을 두고 민주당 노종면 의원은 “습격, 폭동의 도화선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며 “습격 명령과 무엇이 다를까”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윤 의원은 이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평소에도 경찰과 시위대, 국가기관 간 충돌은 없어야 한다고 말씀드려왔다“면서 “제가 법원 앞 현장을 떠난 18일 오후 10시경까지도 폭력사태는 없었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서부지법에서 벌어진 불행한 사태의 도화선은 다름 아닌 대통령 구속이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와 그에 성난 민심이지 제 발언이나 행동이 아니다”라고 반박했지만, 논란은 쉽게 사그라지지 않는 모양새다.
국민의힘 김재원 전 최고위원도 이와 같은 논란에 기름을 뿌렸다. 그는 전날 SNS에 “지난 47일간 윤 대통령은 한남동 관저를 성채로 삼아 자신만의 성전(聖戰)을 시작했다”며 “이제 그 전쟁은 감방 안에서 계속될 것이다. 윤 대통령의 외롭고도 힘든 성전에 참전하는 아스팔트의 십자군들은 창대한 군사를 일으켰다”고 적었다. 그는 “그 성전의 상대방은 당연 ‘반국가세력”의 괴수(魁首) 이재명”이라며 “거병한 십자군 전사들에게 경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서부지법에서 난동을 벌인 윤 대통령 지지자들을 ‘십자군’에 빗대고, 그들의 행위를 ‘성전’이라며 옹호하는 듯한 발언으로 문제가 됐다.
논란이 일자 김 전 최고위원은 “우리 당은 서울서부지방법원의 폭력사태와 같은 불법행위는 어떤 경우로도 용납되지 않음을 밝혔고, 저도 그와 같은 폭력사태는 어떠한 경우에도 단호하게 반대한다”고 해명했다.

황교안 전 국무총리는 체포된 지지자들의 무료 변론을 자처하고 나섰다. 황 전 총리는 SNS에 “대통령을 지키려다가 체포된 분들을 각 경찰서를 돌며 면회하고 있다. 86명이 체포돼 너무 안타깝다”며 “저는 그분들께 무료 변론을 제공하겠다. 어떻게든 도와야 한다“고 적었다.
당 지도부는 공식적으로 “폭력은 안 된다”는 입장을 명확히 밝히면서도, 이번 사태의 책임 소재에 대해선 다른 목소리를 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전날 “현장은 폭력 책임을 시위대에게 일방적으로 물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며 경찰 책임론을 제기했다. 그는 “경찰이 시민을 내동댕이치고, 시민의 카메라, 삼각대 등을 발로 걷어차는가 하면 시민을 방패로 내리찍고 명찰이 없는 경찰이 현장에 다수 나선 모습은 납득하기 어려웠다”며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민주노총 등 다른 불법집회에서 볼 수 없던 경찰의 과잉 대응, 폭력 행위에 대해 충분하고 신속한 진상을 규명하라”고 촉구했다.
이와 관련해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폭력을 옹호한다고 말할 수 없지만, 그 이면에는 지지자들에게 ‘더 열심히 싸워달라’는 메시지를 내는 것”이라며 “대선 결과보다는 당장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하는 당심을 잡고 당권을 쥐는 데 집중하다 보니 당이 점점 극우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