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자가용 있을텐데…고소득층, 더 많이 걷는다

입력 : 2025-01-30 19:41:22 수정 : 2025-01-30 20:37:09

인쇄 메일 url 공유 - +

“운동도 ‘부익부 빈익빈’…소득 높을수록 신체활동 더 많아”

#1. 김모(45) 씨는 대기업 임원으로 연봉 1억 원 이상을 받으며 여유로운 생활을 하고 있다. 그는 매일 출근 전 개인 트레이너와 함께 PT를 받고, 주말에는 골프나 등산을 즐긴다. 헬스장 회원권뿐만 아니라 요가, 필라테스, 수영 등 다양한 운동을 병행하며 건강을 관리하고 있다. 비용이 들더라도 체계적인 운동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그에게는 큰 장점이다.

 

#2. 박모(32) 씨는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하며 월 200만 원 남짓을 벌고 있다. 하루 10시간 이상 서서 일하다 보니 따로 운동할 여력도 없고, 헬스장 이용료조차 부담이 된다. 퇴근 후에는 피곤함에 몸을 움직이기조차 힘들어 운동은커녕 집에서 쉬는 시간이 더 많다.

 

소득이 높을수록 평소에 걷기, 유산소 운동, 근력 운동 등 신체활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소득 수준에 따라 ‘건강 격차’ 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소득 수준에 따라 신체활동 실천율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경제적 여유가 있는 사람일수록 다양한 운동을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반면, 저소득층은 운동을 할 시간과 경제적 여건이 부족해 신체활동이 적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런 ‘운동 빈부격차’는 건강 불평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30일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3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우리나라 성인 가운데 1주일 동안 걷기를 1회 10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실천한 사람의 비율은 44.5%였다.

 

소득 수준별로 5개 그룹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걷기 실천율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소득 '하' 그룹에서는 39.1%에 그쳤고, '중하' 44.6%, '중' 43.8%, '중상' 45.3%, '상' 49.2%로 나타났다.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사이의 차이는 10%포인트 이상으로 집계됐다.

 

2014년 조사에서는 소득 '상' 그룹의 걷기 실천율이 43.7%, '하' 그룹이 41.7%로 불과 2%포인트 차이였으나, 2023년 조사에서는 이 격차가 5배 이상 증가했다.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도 소득별 차이가 뚜렷했다. 19세 이상 성인의 평균 실천율은 52.5%였지만, 소득 '하' 그룹에서는 48.3%, '상' 그룹에서는 57.2%로 8.9%포인트 차이가 나타났다. 이 격차 역시 2014년 조사(소득 '상' 55.8%·소득 '하' 59.4%) 당시 3.6%포인트에서 확대됐다. 남성은 소득에 따른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 차이가 13.3%포인트로 더 벌어졌다.

 

근력운동 실천율에서도 소득별 격차가 존재했다. 최근 일주일간 근력운동을 2일 이상 실천한 비율(성인 전체 27.3%)을 보면, 소득 '하' 그룹은 21.4%, '상' 그룹은 32.8%로 고소득층이 11.4%포인트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2014년에는 고소득층(23.2%)과 저소득층(18.0%) 간 차이가 5.2%포인트였으나, 최근 더욱 확대된 것이다.

 

기사 특정내용과 무관. 연합뉴스 자료사진

 

걷기는 건강에 좋은 운동이지만, 올바른 자세로 걷지 않으면 오히려 건강에 해가 될 수 있다. 걷기 운동 시 주의할 점을 살펴보자.

 

우선 한 번에 2시간 이상 걷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얼굴은 정면을 향하고, 가슴을 펴고 허리를 꼿꼿이 세운 상태에서 걷는 것이 중요하다. 양발은 11자 형태를 유지하며, 무릎이 약간 스치는 듯한 걸음걸이가 좋다.

 

장애물이 없는 평지에서 뒤로 걷기가 무릎 통증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뒤로 걸으면 허벅지 안쪽·뒤쪽 근육과 종아리 근육이 강화된다.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에는 관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수중 걷기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 걸을 때 체중의 300%에 해당하는 하중이 하체에 가해지므로, 물속에서 걷는 것이 관절 보호에 유리하다.

 

운동 빈부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저소득층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공체육시설 확충, 걷기 캠페인 활성화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홍화연 '깜찍한 손하트'
  • 홍화연 '깜찍한 손하트'
  • 김민주 '신비한 매력'
  • 진기주 '해맑은 미소'
  • 노정의 '시크한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