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속인 “노, 김용현 사주 갖고 찾아와
‘보통 군인 아니다, 장관될 것’ 말해”
이창용 한은 총재 증인으로 출석
계엄 직후 예비비 논의 의혹 부인
특위, 5일 尹 구치소 현장 조사
與 “망신주기” 반발… 불참할 듯
국회 ‘윤석열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국조특위)가 4일 진행한 두번째 청문회에서는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비상계엄 전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에게 ‘비화폰’을 지급했고 이후 관련 기록을 삭제하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진행한 2차 청문회에서 김대경 대통령경호처 지원본부장에게 “계엄 하루 전인 지난해 12월2일 민간인인 노상원에게 비화폰을 주라고 한 사람이 있다”며 김 차장을 지목했다. 윤 의원은 김 본부장에게 9481이라는 전화번호 끝자리를 기억하는지 물으며 해당 번호가 노 전 사령관이 사용했던 비화폰 번호라고 주장했다. 이어 “12월 중순에 김 차장이 김 본부장한테 지시를 했다고 한다”며 “(김 차장이) 자신이 내란이 결부된 게 두려워 관련 기록을 삭제할 것을 요구했다고 하는데 사실인가”라고 물었다. 김 본부장은 수사가 진행 중인 내용이라며 직접적인 답변을 하지 않았다.
이날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2·3 비상계엄으로 인한 우리 경제적 손실에 대해 “상당한 데미지가 있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계엄 선포 직후인 지난해 12월3일 오후 11시40분쯤 열린 거시경제 금융현안 간담회(F4회의)에서 계엄 관련 예비비 확보를 위한 논의가 이뤄진 것이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선 “F4회의는 예비비를 다룰 수 있는 회의가 아니다”라며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2년간 해왔던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날 청문회에는 노 전 사령관이 비상계엄 전 여러 차례 방문한 것으로 알려진 무속인 ‘비단 아씨’ 이선진씨도 증인으로 출석했다. 이씨는 노 전 사령관이 자신을 찾아와 김 전 장관에 대해 질문했고 자신이 “나중에 장관이 될 것”이라는 취지로 말했다고 증언했다. 이씨는 “(노 전 사령관이) 처음에 (김 전 장관의) 이름과 생년월일을 갖고 오셔서 제가 ‘이분은 보통 군인은 아닌 것 같다. 나중에 장관이 될 거다’라고 했다”며 노 전 사령관이 ‘이 사람과 내가 뭔가 문제를 만들어서 할 때 잘되면 내가 다시 나랏일을 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전했다.
1차 청문회에 이어 이날 청문회에도 참석한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번에도 증인 선서와 증언을 거부했다. 이 전 장관이 선서를 하지 않자 안규백 국조특위 위원장은 “다른 수사기관에서는 증언했는데 국회에서는 거부하는 이유가 뭔가”라고 물었고 이 전 장관은 “수사기관에서는 증언이 아니라 진술을 한 것”이라며 “국회 증언은 국민에게 전부 공개된다. 제 진술이 다른 분들과 다를 경우 국민의 혼선을 줄이기 위해 수사기관에서 진술한 것이고 잠시 기다려주시면 모든 것이 제대로 국민에게 알려질 것”이라고 답했다.
이날 청문회에서는 국민의힘 임종덕 의원이 지난해 12월6일 유튜브에서 이뤄진 곽종근 전 사령관의 비상계엄 관련 진술이 야당 회유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취지의 주장을 펴며 위원들 간에 막말 사태가 빚어지기도 했다. 곽 전 사령관 진술 당시 동석한 민주당 김병주·부승찬 의원이 강하게 반발하며 여당 의원을 향해 “물타기라니. 그럼 채 해병 죽인 사람이 당신 아닌가”라고 말했고 이에 여당이 ‘싸가지’라고 맞받아치는 등 원색적으로 충돌했다.
질의 시작에 앞서 특위는 야당 주도로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에 대한 동행명령장을 발부했다. 안 위원장은 “증인 중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 강의구 대통령비서실 1부속비서실장은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해 진상규명을 위해 반드시 출석해야 할 핵심 증인”이라며 “이에 국회에선 증언감정에 관한 법률 제 6조 규정에 의거해 청문회에 불출석한 4인 증인을 오후 2시까지 동행명령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국조특위는 5일에는 윤 대통령이 수감 중인 서울구치소와 김 전 장관이 수감된 서울동부구치소 등을 방문해 현장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현장조사가 ‘망신 주기’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있는 만큼 불참할 것으로 예상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