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일 수련센터 존폐 위기
환자 대부분이 기득권이었다면
모두 나 몰라라 할 수 있었을까
“응급 외상 환자 외면하는 걸 의사들 개인이나 일개 병원에 책임을 돌려선 안 돼요. 의대 졸업할 때까지만 해도 사명감이 넘치는 친구들 많아요. 그걸 못 갖춘 우리나라 시스템이 문제지.” 2012년 방영된 메디컬 드라마 ‘골든타임’에서 외과의사 최인혁(이성민)이 한 말이다. 최인혁이 꿈꾼 건, 제대로 된 외상외과 시스템을 만들어 골든타임 안에 환자를 살리는 것. 이를 위해 그는 주장한다. “중증외상센터 설립!”
최인혁의 모델은 한국 외상외과 분야 권위자인 이국종(현 국군대전병원장)이다. 아덴만에서 총상 입은 석해균 선장을 살리면서 중증외상이라는 분야를 한국에 알린 인물 말이다. 중증외상 치료는 수가가 터무니없이 낮은 탓에, 환자를 살릴수록 적자가 늘어나는 구조다. 병원들이 중증외상환자를 꺼린 이유. 아주대 병원 재직 당시, 이국종 교수가 국가 지원을 받는 권역별 중증외상센터 설립에 목소리 냈던 이유다. 그리고 2012년 그의 이름을 딴 ‘이국종법’(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한국 응급 외상 분야는 새로운 전기를 맞는 듯했다. 그래서 어떻게 됐냐고? 이후의 상황은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중중외상센터’에서 엿볼 수 있다.
‘중중외상센터’는 이비인후과 전문의 이낙준이 쓴 웹소설 ‘중증외상센터: 골든아워’를 원작으로 한 작품. 이국종의 에세이 ‘골든아워’가 웹소설 모티브로 알려진다. ‘골든타임’과 ‘중증외상센터’ 모두 외상외과가 배경이지만 작품 ‘결’과 ‘방향’은 완전히 다르다. 전자가 ‘중증외상센터의 필요성’을 진지하게 역설했다면, 후자는 ‘중중외상센터 관리 시스템의 허점’을 판타지에 섞어 고발한다.
‘중중외상센터’는 천재 외과의사 백강혁(주지훈)이 상급병원 중증외상센터에 부임하면서 시작된다. 백강혁을 맞이하는 건 가시밭길이다. 병원은 정부가 중증외상센터 지원금으로 준 돈을 엉뚱한 곳에 가져다 쓰면서, 백강혁을 병원 적자의 원흉으로 몰아간다. 앰뷸런스 운용을 두고도 “일단 사람부터 살리자”는 백강혁과 “그게 다, 돈 드는 일”이라는 병원의 실리가 부딪힌다. 극한의 업무량 탓에 외상외과는 전공의들 기피 대상이고, 몇 사람의 사명감으로 팀이 돌아가는 아슬아슬한 상황이 펼쳐진다.
그렇다면, ‘응당’ 이런 질문이 따라야 한다. 선진사회 의료시스템을 어렵사리 들여왔는데, 왜 한국은 여전히 이 모양인가. 이에 대해 이국종은 과거 한 TV프로그램에서 이렇게 말한 바 있다. “기존 관행을 뚫고 나가는 모습이 필요한데 한 발짝도 못 나가는 것 같다. 처음에는 이유나 그런 게 있어서 그렇다고 생각했는데, 보니까 솔직히 드는 생각은 원하지 않는 것 같다, 한국 사회 대부분의 구성원이. 그러니까 다친 사람만 억울한 거다”
여기서 눈여겨봐야 할 건, 다치는 사람 대부분이 ‘사회적 약자’라는 점이다.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현장에서 일하는 블루칼라가 사고에 노출될 확률이 클 수밖에 없다. 같은 교통사고를 당해도, 에어백 터지는 고급차를 타고 있는 사람에게 가해지는 위험도와 경차 타는 사람에게 가해지는 강도는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아무리 당연한 일이라도, 피해자가 누구인가에 따라 사회적 대응이 달라지는 건 엄연히 다른 문제다. 만약 중증외상환자 대부분이 사회 기득권들이라도 정부가 지금처럼 관망만 하고 있을까. 언론이 짐짓 고개 돌리고 있을까.
마침, ‘중증외상 전문의를 육성해 온 국내 유일의 수련센터가 정부 예산 삭감으로 문 닫는다’는 소식이 지난 5일 뉴스를 도배했다. 아마도, ‘중증외상센터’가 흥행하지 않았다면 몇몇 신문 뉴스 토막으로 나오고 그냥 지나쳤을 것이다. 조만간 정치인들 입에서 이 문제가 오르내릴 것이라고, 내 재산 500원을 건다. 필요할 땐 이국종(영웅으로 칭송받은)을 얼굴마담으로 내세우고, 국민 관심이 식자 나 몰라라 해 온 게 정치인들 아니던가. 시스템의 한계를 버티고 버티다 아주대를 물러나며 이국종이 한 말은 “이번 생은 망했어요”였다. ‘이번 생’이라는 단어에 ‘공공의료’를 대입해도 무관하지 않은 것 같아 더 뼈아프게 느껴졌던 말. 그래서 묻게 된다. 우린, 언제까지 영웅만을 바라보고 있을 것인가. 몇몇 사람의 사명감에 기댈 것인가.
정시우 대중문화 칼럼니스트 작가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