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의 해상-항공(Sea&air) 전자상거래 화물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ea&Air 화물은 주로 중국에서 생산된 전자상거래 상품이 인천공항까지 해상을 통해 운송된 후 인천공항에서 항공편을 통해 전 세계로 배송된다.
8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공항 Sea&Air화물은 11만8000t으로 전년 9만8000t 대비 20%늘었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2/07/20250207508824.jpg)
인천공항의 Sea&Air화물은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되는 상품이다. 인천항과 평택항, 군산항을 통해 국내로 들어오며 곧바로 인천공항으로 옮겨져 항공기를 통해 미주와 유럽 등지로 운송된다.
최근 중국계 전자상거래 기업들이 판매시장 다각화에 나서고 있어 동남아시아 및 중동, 남미 등으로의 전자상거래 화물 수요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Sea&Air화물의 최종 목적지는 북미(42%), 유럽(28%)으로 여전히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아시아, 중남미, 중동 등 신흥 지역이 전년대비 67%나 증가하며 점유율 30%를 달성한 것이 큰 특징이다.
2023년도에는 35개국으로 운송됐지만 지난해에는 47개국으로 늘었다. 전자상거래 시장의 다변화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인천공항의 Sea&Air 화물 급증은 중국과의 지리적 접근성이 뛰어난데다 지난해 12월 기준 전세계 192개 도시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가졌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하지만 올해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른 중국발 전자상거래 규제 강화로 인해 변동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인천국제공항공사 관계자는 “항공화물 시장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지만 인천공항의 지정학적 장점과 뛰어난 항공 네트워크를 활용하면 성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국제공항공사는 14일 ‘인천공항 항공화물 전망 세미나’를 열고 올해 항공화물 전망을 발표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