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주자본비율 4대 금융지주 중 유일 개선
우리금융그룹이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23.1% 늘어난 3조86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7일 공시했다. 2022년 3조1690억원에 이은 역대 두 번째 수준 실적이다.
자기자본이익률(ROE)는 9.3%로 전년 대비 1.0%포인트 개선됐다. 4분기 당기순이익은 4261억원으로 시장 기대치에 부합했다.
특히 그룹 전체 비이자이익이 전년 대비 41.9% 급증한 1조948억원을 기록하며 전체 성장을 견인했다. 은행 자산관리(WM) 및 투자은행(IB) 실적, 비은행부문의 영업 확대를 바탕으로 수수료이익이 21.3% 크게 늘었다.
그룹 전체 이자이익은 전년 대비 1.6% 증가한 8조8863억원이었다. 두 차례 기준금리 인하의 영향이 있었지만 중소기업 특화점포 신설, 국가첨단 전략산업 중심의 금융지원 등 기업대출 부문이 9.0% 증가하며 성장세를 유지했다.
우리은행의 당기순익은 3조39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자이익은 7조5622억원, 비이자이익은 1조712억원이다.
그룹 보통주자본(CET1)비율은 12.08%를 기록하며 4대 금융지주 중 유일하게 개선됐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4분기 환율 150원 급등에 따라 약 0.4%포인트 감소 영향이 있었지만, 위험가중자산(RWA) 관리 노력에 힘입어 전 분기 대비 0.13%포인트 상승했다”고 밝혔다.
우리금융 이사회는 호실적을 바탕으로 주당 660원의 결산 배당을 결의했다고 밝혔다. 이로서 2024년 연간 배당금은 주당 1200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또 올해 자사주 매입·소각을 전년 대비 약 10% 증가한 1500억원으로 발표했다.
우리금융은 이날 비과세 배당을 통한 주주의 실질적 배당수익률 확대, 분기배당 선진화 절차 도입 등 올해 추가적인 기업차치 제고계획도 함께 발표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지난해 연간 순이익 3조원을 달성하는 등 시장에서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며 ”올해를 자본비율 개선 원년으로 삼아 금융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자산리밸런싱을 통한 최적의 포트폴리오 구축, 소상공인 지원 등 취약계층에 대한 상생금융 확대, 내부통제 고도화 등을 통해 고객과 시장의 신뢰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