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2/12/20250212518843.jpg)
정부가 시리아와 수교를 추진하고 있다. 외교부에 따르면 김은정 외교부 아프리카중동국장은 7일 시리아 수도인 다마스쿠스에서 시리아 외교 장관과 만나 수교 의사를 확인했다. 1년 전 쿠바에 이어 시리아와 수교를 하게 되면 북한을 뺀 191개 유엔회원국 모두와 외교관계를 수립하게 된다. 양국 간 수교는 우리 외교 지평을 넓히는 것뿐 아니라 북한의 오랜 친구를 우리 편으로 돌려세운다는 점에서 환영할 만한 일이다.
양국 수교논의가 급물살을 타는 건 북한과 혈맹이었던 바샤르 알 아사드 독재정권이 최근 붕괴했기 때문이다. 아사드 정권은 1966년 북한과 수교한 이래 제3차·제4차 중동전쟁에서 북한 무기를 지원받았고 최근까지 탄도미사일, 핵 개발과 관련한 불법 협력도 이어졌다. 시리아 주재 북한 외교관들은 지난해 12월 아사드 정권이 몰락하자 철수한 것으로 전해진다. 새로 들어선 과도정부는 국제사회에서 정상국가로 인정받기 위해 북한·러시아의 관계를 최소화한다는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전해진다. 극심한 경제난에 시달려온 시리아로서는 만성기근의 나라보다는 눈부신 발전의 나라에 끌릴 수밖에 없다. 시리아 측은 한국으로부터 번영과 발전의 노하우를 배우고 싶다며 자국 재건 사업에 한국 정부와 기업이 참여해 달라고 요청했다.
한국과 시리아의 수교는 북한의 외교적 고립을 심화시킬 것이다. 북한은 국제사회에서 외톨이 신세로 전락하는 자국의 현실을 냉철히 돌아봐야 할 것이다. 시리아도 형제국 의리보다 한국과의 경제협력에서 얻는 이익을 선택하려는 것 아닌가.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아직도 시대착오적 망상에 빠져 군사대결만 추구하며 주민 고통을 나 몰라라 하니 안타깝다. 이제라도 핵·미사일 폭주를 멈추고 개혁·개방의 길로 나서는 것만이 살길임을 깨닫기 바란다.
정부는 수교 성사 때까지 긴장을 늦춰서는 안 될 것이다. 쌀과 보건 분야 원조 등 인도적 지원을 아끼지 말고 에너지, 통신, 인프라 등 주요 분야의 정교한 협력 모델을 마련해야 한다. 북한의 경거망동에도 대비가 필요하다. 북한으로서는 중동에서 친북 연결고리가 약해진 만큼 중국과 러시아에 더 밀착해 반미연대 구축에 몰두할 공산이 크다. 특히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을 계기 삼아 강화된 북·러 군사협력이 북한의 도발을 부추길 수 있다. 군은 북한군의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최악의 도발 상황까지 상정해 완벽한 대응태세를 갖춰야 할 것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