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국민 120만명이 사용하는 중국의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가 이용자 정보를 중국의 소셜미디어(SNS) 틱톡 모회사(바이트댄스)에 넘긴 것으로 확인됐다. 과도한 정보수집과 수집정보 유출 논란을 일으킨 딥시크에 대한 우려가 현실이 된 것이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그제 미흡한 개인정보보호 정책 때문에 15일 오후 6시부터 딥시크 애플리케이션의 국내 서비스가 잠정중단됐다고 발표했다. 충격적 사실은 데이터 흐름을 분석하던 중 딥시크의 데이터가 바이트댄스로 넘어간 것이 확인됐다는 점이다. 딥시크 이용자의 개인정보가 제3자인 중국 기업에 이전된 것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딥시크와 바이트댄스는 자회사나 계열사 관계가 아니다. 이용자 정보 이전과 관련한 위탁협약을 체결했는지도 불투명하다. 딥시크 이용자 정보의 바이트댄스 이전 경위를 둘러싼 논란이 증폭할 가능성이 있다.
지난달 세상에 처음 등장했을 때부터 딥시크는 저비용·고성능이라는 찬사와 함께 키보드 입력 패턴까지 포함한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으로 논란을 빚었다. 국가정보법 등 중국 법률에 따라 수집된 정보와 데이터가 중국 당국에 언제든지 넘어가 악용될 수 있다는 문제도 제기됐다. 우리도 범정부 차원에서 사용제한에 나선 이유다.
딥시크가 바이트댄스에 어떤 내용의 정보를, 얼마나 많이 전송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앞으로 나올 당국의 실태점검 결과에 따라 후폭풍을 배제할 수 없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개선·보완이 이뤄진 후 서비스가 재개될 예정”이라고 했다. 서비스 재개를 졸속으로 결정해서는 안 된다. 추후 논란 방지를 위해서라도 면밀한 점검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이번 실태점검 과정에서 딥시크 서비스가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에서 요구하는 요건을 철저히 갖추도록 확실한 개선을 주문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정부와 정치권은 미래 전략산업이자 신성장 동력인 AI 활용과 개인정보보호·국가안보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관련법 개정을 고민할 때다.
딥시크 보완 과정에서 불필요한 한·중 외교마찰은 최소화해야 한다. 중국 정부는 한국을 향해 “경제·무역·과학·기술 문제를 안보화·정치화하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반발하고 있다. 이번 조치가 국제관계를 감안한 ‘중국 때리기’ 일환이 아니라, 전적으로 기술적 관점에서, 법률에 따라 이뤄지는 것임을 중국 측에 분명히 전달할 필요가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