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해외부동산 등 대체투자에 대한 리스크 관리 강화에 나선다. 국내 증권·자산운용사들이 해외 부동산 등 대체투자에서 대규모 손실을 내며 투자자들의 손실이 커진 데 따른 조치다.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협회는 국내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해 '리스크관리 모범규준' 개정안을 마련, 오는 4월부터 시행한다.

19일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 기준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규모는 증권사 7조8000억원, 운용사 76조원 등 83조7000억원에 이른다. 하지만 글로벌 부동산 시장 부진 등으로 일부 업체의 해외부동산 펀드가 전액 손실 처리 되는 등 손실 규모가 커지고 있다.
금감원과 금투협은 2020년 이후부터 금융투자업자가 해외 부동산 등 대체투자를 할 때 준수해야 할 위험관리 기준 등을 명시한 모범규준을 마련해 시행해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부실 우려가 부각됨에 따라 모범규준 개정을 추진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 10일 기자간담회에서 "내용을 살펴보면 딜을 소싱한 것은 해외 자산운용 전문가들이었고, 우리는 딜의 구체적 수익성·리스크 등도 모르고 후순위로 들어간 경우가 많았다"며 "금융사들도 뒤돌아봐야 하고 금융당국도 반성적 고민을 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개정안은 증권·운용사의 리스크 관리 조직 설계부터 사후 평가에 이르기까지 대체투자 과정 전반에서 업계 모범 사례를 반영해 단계별 리스크 관리, 투자자 보호를 위해 필요한 세부 절차, 이행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증권·운용사는 투자심의위원회 등 투자 의사결정기구 의결정족수와 구성요건을 합리적으로 마련해 투자심의의 객관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 대체투자자산을 투자형태, 만기 분포, 지역 등으로 세분해 정기적으로 관리하도록 리스크 관리 체계를 신설해야 한다.
투자계획 단계에서는 브로커 등 대체투자 거래 소개자, 투자처 발굴(딜소싱)을 검토·평가하는 정책과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
투자 형태별 특성을 감안해 중도 계약 해지 등 공실위험을 주요 리스크로 추가 인식하도록 했다.

현지실사 단계에서는 실사 점검 항목을 포함한 체크리스트를 통해 충분하고 적합한 현지 실사가 이뤄지도록 지원하도록 했다.
아울러 외부전문가 선정에 대한 기준과 절차를 마련하고 이를 문서화해 객관적 절차로 외부전문가를 선정하도록 했다.
투자심사 단계에서는 다양한 시나리오에 기반한 현금흐름 추정을 위한 민감도 분석을 의무화한다.
최고수익책임자(CRO)의 역할과 권한도 강화한다. CRO는 투자심의위원회 등 의사결정기구 내 재의요구권을 부여받는다.
사후·평가단계에서는 점검 항목을 체크리스트에 반영하고, 부실(우려)자산을 평가하기 위한 자산건전성 분류 및 손상차손 인식 기준을 신설해야 한다.
또 연 1회 이상 투자자산의 사후관리를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부실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자산은 수시로 점검해야 한다.
금감원은 "대체투자 업무 전반의 주요 단계별 관리 체계, 이행 절차와 예시를 모범규준에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며 "대체투자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투자자 신뢰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모범규준 개정안은 금융투자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모범규준은 의견 접수 기간을 거쳐 3월 중순 개정이 완료될 예정이다.
<뉴시스>뉴시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